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36개국이 한국에 모인다(3.24~29)

담당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3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의 이사회가 3월 24일(금)부터 3월 29일(수)까지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으로서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이 참여하는 총회를 개최하여 주요사항을 결정한다.

제1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010년)에서 각국은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합의하며 기술메커니즘 설립을 결정하였다. 기술메커니즘은 기후변화대응 기술(이하 ‘기후기술’)의 개발과 수요국가에 대한 이전을 지원하며,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기술집행위원회(TEC), 기술협력 활동을 지원하는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와 각 국가별 지정창구(NDE)로 구성되어있다.

이들 기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결정사항 중 기술개발 및 이전에 관한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운영된다. 특히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피해를 입은 개도국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하고, 매년 약 2회의 이사회를 개최하고 있다.

2015년 과기정통부가 한국의 국가지정창구(NDE)로 지정되었고, 2018년 기술메커니즘 이사국으로 진출*함과 동시에 같은 해 기술협력 활동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국가지정창구(NDE)로 선정되는 등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이 CTCN 아-태지역 이사직 수임 중

또한, 국가의 기후기술 보유 역량과 그간의 기술협력 기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지리적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지난해 7월 세계 최초로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를 유치?설립하였다.(붙임 3)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는 국가 간 기후기술 협력 사업을 지원하고, 기술 수요국 정부관계자를 대상으로 역량강화 프로그램 및 교류 행사를 개최하는 등 실질적인 기술 확산 활동을 수행 중이다.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은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 개소 등 우리나라의 그동안 기후기술협력 기여를 고려하여 유럽 외 지역에서는 최초로 이사회를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고 각국의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이사를 한국으로 초청하였다.

올해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의 의장국을 맡은 미국을 포함하여 일본, 캐나다, 케냐,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약 36개국에서 9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이사회에서는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2022년)에서 결정된 8대* 기술지원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활동이 진행 될 수 있도록 주력상품(플래그십) 사업(프로젝트) 신설, 기술지원 사업 확대(스케일업), 재정기구**(GCF 등)와의 협력 등 다양한 방안을 논의한다.
* (8대 분야) 디지털화, 물-에너지-식량 시스템, 에너지 시스템, 건물 및 인프라, 기술로드맵, 국가혁신시스템, 기술수요평가, 비즈니스와 산업
** 녹색기후기금(GCF), 지구환경금융(GEF), 적응기금(AF) 등 유엔기후변화협약 산하의 기후재원 운영 기구

특히,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은 8대 기술지원 분야 중 기술로드맵과 디지털화 분야의 기술협력 방안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개도국이 기술혁신을 통해 급격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국의 기술로드맵 수립 가이드를 제공하고, 머신러닝 등 디지털 전환을 통한 기후변화대응 방안에 대한 정책보고서 발간을 위한 추진절차 및 주요 내용을 확정할 예정이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개최국 환영사를 통해 “한국 정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기후기술 협력을 선도적으로 수행하고자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대한민국 협력연락사무소를 설립하고, 다양한 기술협력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앞으로도 수소, CCUS 등 탄소중립 분야의 기술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개발된 기술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적용될 수 있도록 관계 유엔기후변화협약 산하 기구와 협력을 통해 국가 간 기술의 연구개발 및 실증, 인력교류를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3.2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8980&pageIndex=5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77 ‘2050 탄소중립 달성과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국가 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 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8
276 탄소중립에 따른 위기, 지역 주도 준비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4
275 환경데이터 공모전 개최…창업 기회 넓힌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66
274 미국 에너지부와 원전 협력, 청정에너지 공조 강화에 합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4
273 재택근무로 업무효율도, 직원만족도 동시에 잡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0
272 그린수소, 바다·호수에서 대량 생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62
271 2022 환경백서 발간…환경정책 성과 종합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7
270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국내외 전문가 머리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05
269 중소기업에도 녹색투자 길 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17
268 엘지유플러스(LGU+) 침해사고 관련 재발방지 대책 마련 및 시정조치 요구 비회원 2023-05-24 813
267 생물표본 관리 역량 강화…담당자 한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4
266 고용노동부, “노동개혁정책관” 신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02
265 국내 청정수소 생산 기반시설(인프라)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54
264 여성 특성화고·여대의 창·취업을 위해 선배 여성 최고경영자(CEO)가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3
263 ‘과기정통부, 제로 트러스트 신보안체계 도입 본격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74
262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법안 최종 승인, 전환기간을 거쳐 ‘26년부터 시행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87
261 한미 양국 첨단산업, 소형모듈원전(SMR)·청정수소 등 양해각서(MOU) 23건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05
260 규제심판부, “친환경 신(新)모빌리티인 화물용 전기자전거 도입” 권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4
259 재생에너지 풍부한 칠레와 ‘그린수소’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4
258 사회적경제기업 지속가능한 성장지원에 앞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