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출산·양육이 행복한 선택이 될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9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4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위원장: 대통령)는 3월 28일(화)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2023년 제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는 7년여 만에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회의로, 다양한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민간위원들과, 정부위원인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하여 저출산 대책을 논의하였다.
* 복지부, 기재부, 교육부, 고용부, 여가부, 국토부, 행안부(차관)

위원들은 ‘저출산 문제는 결혼과 출산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 및 가치관 변화, 경쟁적 사회 환경 등 인식과 사회구조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고 ‘결혼과 출산, 양육이 행복한 선택이 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목표를 두어야 함에 공감하였다. 또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사회구조와 인식 제고에 나서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번 위원회는 김영미 부위원장의 ‘윤석열 정부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추진방향 및 과제’ 발표와 청년과 영유아·초등 자녀를 둔 부모 등 정책 수요자 및 전문가의 의견과 질의를 듣고 각 부처 장관이 답변하는 토론으로 진행되었다.

김영미 부위원장은 발표에서, 지난 정책에 대한 평가와 반성을 바탕으로 윤석열 정부의 저출산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①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추상적이고 불명확한 목표보다는 ‘결혼·출산·양육이 행복한 선택이 될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이라는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저출산 대응 정책의 범위를 재정립하기로 하였다.
② 매년 수십조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음에도 형식적으로 이뤄지던 평가 관행에서 벗어나, 제대로 된 정책평가 방식을 도입하고 문제를 수정·보완할 수 있는 평가·환류 체계를 구축하기로 하였다.
③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부처별 정책이 망라된 기본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고, 실효성과 관련도가 높은 핵심 정책을 중심으로 전환하여 선택과 집중하기로 하였다.

위원회는 정책 추진 방향을 바탕으로, 4대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① (선택과 집중) 정책 수요와 정책 연관성·효과성·체감도 등을 고려하여 핵심 분야와 과제로 선택과 집중하며, 5대 핵심 분야로 ‘돌봄과 교육, 일·육아병행, 주거, 양육비용, 건강’을 선정하였다.
② (사각지대·격차 해소) 5대 핵심분야 추진 시 사각지대 해소 및 서비스 격차 완화를 통해 보다 보편적이고 높은 수준의 서비스와 정책 지원을 확대한다.
③ (구조개혁과 인식제고) 문화·제도 등 사회구조 전반에 대한 개혁을 통해 공동체 가치를 회복하고, 일·육아병행 지원 제도의 이행력 강화 등 가족·양육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과 사회적 공감대 확산을 추진한다.
④ (정책 추진기반 강화) 관계부처 및 관련 위원회와의 협업 구조와 정책 평가-환류 체계를 강화한다.

또한 위원회는 5대 핵심분야에서의 핵심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과제들은 저출산 대책의 최종안이 아닌 ‘최근 정책 수요 및 기존정책 보완 필요사항을 반영’한 핵심 분야별 주요 과제의 추진 계획이며, 특히 새로운 정책 도입에 앞서 기존 제도와 정책이 제대로 정착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를 출발점으로 삼아 국민 소통, 부처 협의를 통한 추가 과제를 발굴하고, 기존 정책을 보완해나갈 계획이다.

?

구체적인 저출산 대응 핵심 분야와 분야별 주요과제는 다음과 같다.

<저출산 5대 핵심분야 및 주요과제>
1. 촘촘하고 질 높은 돌봄과 교육
① 아이돌보미서비스·시간제보육 확대 ② 유보통합 시행과 늘봄학교 전국 확대 ③ 아동기본법 제정 추진


2. 일하는 부모에게 아이와의 시간을
① 일·육아 병행 지원 제도의 실질적 사용여건 조성
② 부모 직접 돌봄이 가능하도록 육아기 근로환경 개선

3. 가족친화적 주거 서비스
① 신혼부부 주택공급 및 자금지원 확대
② 가구원수 고려 맞춤형 면적의 주거공급 확대

4. 양육비용 부담 경감
① 부모급여 지급 ② 자녀장려금(CTC) 지급액 및 지급기준 개선 ③ 가족친화적 세법 개정안 마련

 
5. 건강한 아이, 행복한 부모
① 임신 준비 사전건강관리 ② 난임지원 확대 ③ 2세 미만 입원진료비 본인부담 제로화
 
김영미 부위원장은 이번 발표는 윤석열 정부 저출산 대응의 첫걸음임을 강조하며, 향후 결혼을 앞둔 청년, 출산을 고민하는 분들, 자녀양육 가정 등 직접적인 정책의 당사자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실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상시적으로 실효성과 체감도가 높은 정책을 발굴하여 제시하고 지속적으로 기존 정책을 보완해 가기로 하였다. 소통 강화 계획으로는,
- 국민참여위원회를 구성하여 사회적 공론화 과제를 논의하고,
- 미래세대자문과 옴브즈맨 도입을 통해 청년 세대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을 보완하며,
- 심층적인 인구문제 인식·여론조사와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자료 기반 수요 조사를 시행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사회 각계와 함께하는 공감대 확산과 공동체 가치 회복을 위한 노력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위원회는 저출산·고령사회 정책의 한 축인 고령사회 대응에 있어‘세대공존을 위한 지속가능 사회기반 구축’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5가지 핵심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① 의료-돌봄 연계 혁신
② 고령친화적 주거환경 조성
③ 고용·일자리 지원 강화
④ 고령친화기술 연계 사회서비스 혁신
⑤ 복지시스템 지속가능성 제고

금번 회의는 분야별 핵심 추진 대책의 방향성 제시에 중점을 두었으며, 분야별 세부 계획 및 추가 과제는 구체화·고도화 작업을 거쳐 향후 위원회와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하여 순차적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 2023.03.28)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59606&pageIndex=5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5 사우디에서 녹색기술 교류의 장을 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34
334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 활성화를 위해 환경규제 개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42
333 환경부, 중동에 녹색산업 수주지원단 파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2
332 환경부, 세계 최대 액화수소 생산시설 구축 진행 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9
331 환경부, 일회용품 줄이기 참여 독려를 위한 실천운동 전개 비회원 2023-05-25 612
330 한-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혁신 정책 협력 발판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81
329 순환경제 신사업 발굴에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06
328 여성의 창업?신산업 분야 진출을 위한 네 번째 ‘행복동행’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80
327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확정 본격적인 탄소중립 기술개발 청사진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6
326 ‘탄소중립에 따른 기업 자산손실 영향평가 방법론 개발 연구용역’은 규제 아닌 지원 목적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7
325 친환경농산물의 비의도적 농약 오염에 대한 재심사 기회 넓혀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44
324 동남아 국가들과 온실가스 국외감축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8
323 여가부, 한국폴리텍대학과 여성인력 고부가가치 산업 진출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565
322 캐나다와 핵심광물 협력으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26
321 일하는 사람 모두 고용·산재보험 가입 필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605
320 무탄소 에너지 활용해 기업부담 낮춰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18
319 5월부터 10월까지 전국 해변에서 국민 참여 연안정화활동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46
318 도시가스에 수소 혼입, 연구 시작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72
317 가족친화 우수기업을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27
316 지속가능한 연근해어업 발전법 제정·입법예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