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지속 확대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8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4

1. 보도 내용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2019년 기준 3.4%에 불과, OECD 37개국 중 꼴찌로 평균(23.42%)의 7분의 1수준
 
2. 동 보도 내용에 대한 입장
`19년 재생에너지 비중 3.4%는 전력을 포함한 열, 수송 등 전체 에너지의 최종소비 기준*이며,
* 산업, 수송, 가정, 상업부분 등 최종 소비부문에서 사용한 에너지로, 최종소비자가 직접 사용한 1차에너지와 전환과정을 거친 2차에너지가 해당
전력부문은 발전량 기준으로 `19년도 재생에너지 비중은 4.4%이며, `22년 7.8%(잠정치)까지 확대되고 있음

또한, OECD 국가는 수력·바이오가 전체적으로 풍부*한 편이나, 우리나라는 매우 제한적으로, 국가간의 재생에너지 비중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려움
* OECD 국가는 발전량 기준 수력·바이오 비중이 평균 15.8%이나, 한국은 1.8%에 불과(2022, IEA)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전력비중 기준으로 `30년 21.6%, 36년 30.6%까지 확대 예정임

?

(산업통상자원부, 2023.03.3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60169&pageIndex=49&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5 ’2050 탄소중립 달성과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윤석열 정부 탄소중립?녹색성장 청사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30
204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 승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75
203 유연한 근무시간 운영이 연차휴가 사용에 도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78
202 카카오 등 74개 기업, ESG 차원에서 청년 5천명에 일경험·훈련·멘토링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59
201 환경공단-스타벅스, 커피찌꺼기 재자원화 촉진에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57
200 이정식 장관, 근로시간 개편 관련 근로시간 기록·관리 우수사업장의 청년 근로자, 인사담당자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19
199 정부세종청사, 다회용컵 순환시스템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23
198 탄소중립 시대, 가축분뇨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해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96
197 정부세종청사, 다회용 컵 순환시스템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67
196 국표원, 글로벌 기술규제 선제 대응에 적극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05
195 탄소중립 이행 위한 시설·연구개발 투자기업에 장기·저리 융자지원 지속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02
194 정부는 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추진 중이며,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수소생산과 무관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41
193 지속가능한 미래, 탄소중립 중점학교에서 배워요 비회원 2023-05-23 692
192 무공해차, 보급을 넘어 문화를 향해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60
191 탄소중립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 기후기술(테크) 본격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10
190 2023년 액화수소 시대 본격 개막 비회원 2023-05-23 759
189 2023년 액화수소 시대 본격 개막 비회원 2023-05-23 785
188 현장 중심의 수소 상용차 보급 지원단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765
187 ‘산재예방연구’보다 나은 미래를 제시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910
186 국제적 멸종위기종 인공증식 허가대상 등 사육규정 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2 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