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악화 속에서 ESG 활동 증가… K-ESG 팩트북 2021

  • 한국생산성본부
  • 0
  • 56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02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4일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75개사의 ESG 정량지표를 분석한 보고서인 'K-ESG 팩트북 2021'을 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조사 대상 기업들의 경영 실적은 경기둔화 추세와 코로나19 등이 맞물리면서 악화. 매출 증감율은 2019년 -0.3%, 지난해 -2.1%를 기록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2019년 각각 -48.7%, -54.7%로 큰 폭으로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 각각 12.0%, 12.1% 증가해 다소 회복된 상황

이 가운데 E(환경)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S(사회) 지표는 일부 악화된 것으로 분석됨. 75개사의 에너지 사용량은 2019년과 2020년 모두 전년 대비 각각 0.3%, 2.8% 감소. 온실가스 배출량 또한 스코프1,2(직접배출량과 전력 배출량)뿐 아니라 스코프3(공급망 전체 배출량) 모두 하락하며 비교적 큰 폭으로 감축

수자원 관리와 관련, 용수 재사용량은 833만톤(2018년)에서 963만톤(2020년)으로 꾸준히 증가 추세. 폐기물 재자원화율은 3년 연속 66% 이상을 유지. 또한 기업들은 친환경 투자로 연간 700억원 이상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 이는 2018년 575억원에서 2019년 778억원, 2020년에는 701억원으로 증가한 것

한편, 사회 분야에서는 인권, 산업안전, 다양성 증진에서는 성과를 보였지만, 임직원 등 인적자원 개발과 사회공헌은 감소 수치를 보임. 75개사 중 27곳(36%)이 임직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인권보호지침인 인권경영헌장을 도입했으며, 이를 도입하지 않은 기업들도 윤리규범이나 행동강령 등을 보유. 다양성도 상당히 개선. 여성임원비율은 2018년부터 각각 3.3%에서 3.9%, 6.1%로 점점 높아졌으며, 여성 관리자(과장~부장급) 비율도 8.5%, 9.5%, 10.8%로 상승하는 추세

하지만 신규채용, 직원 교육, 사회공헌 등은 눈에 띄게 감소. 2020년 신규채용은 14% 감소했으며 기업당 연간 총 교육비용(평균)은 2018년(98억원) 대비 2020년에는 12.2%로 대폭 줄어듦. 1인당 교육비용도 2018년 440만원에서 2020년 320만원으로 감소. 또한 코로나19 여파로 대면활동이 줄어들면서 기업 자원봉사 타격이 컸음. 사회공헌 투자 평균액은 2018년 84억원이었지만 2020년 79억원으로 줄어듦. 또한 봉사인원 또한 2018년 4735명에서 2020년 2072명으로 56.9%가량 대폭 감소

지배구조 부문의 경우, 조사대상 75개사 중 53곳(70.7%)이 ESG 담당 위원회를 설치한 것으로 나타남. 또한 임직원을 위한 준법경영교육은 증가 추세

보고서 전문은 다음 주소에서 확인 가능.

https://www.fki.or.kr/FkiAct/Promotion/Report/View.aspx?content_id=8622960d-c589-44c5-8826-face13cd2496&cPage=&search_type=0&search_keyword=



ESG 연구보고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1 #3 ESG 트렌드 리포트 2024 ESG Trend 10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13
10 #2 ESG 트렌드 리포트 2024 ESG Trend 10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351
9 #1 ESG 트렌드 리포트 2024 ESG Trend 10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402
8 공급망 인권실사, 어떻게 대비할까 실무자를 위한 지침서 한국생산성본부 2023-10-23 431
7 글로벌 기업 공급망 실사 Case Study 한국생산성본부 2023-09-25 347
6 79% 글로벌 투자자, ESG 정보로 투자 의사결정해…PwC 설문보고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2 485
5 한국 수소기술특허 세계 5위지만 중국의 5분의 1에 불과해…전경련 보고서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2 399
4 실적 악화 속에서 ESG 활동 증가… K-ESG 팩트북 2021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2 565
3 10주년 맞이한 UNGPs, 그동안의 평가토대로 ‘로드맵’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2 588
2 업종별 탄소중립 전환 진척은?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2 494
1 한국 재생에너지 투자 매력도 13위에서 21위로 하락 한국생산성본부 2022-12-02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