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혁신벤처 성장을 위한 협력의 장 마련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4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4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와 에너지기술평가원은 4월 19일(수) 전경련회관에서 ?제2회 에너지혁신벤처 C-Tech 포럼?을 개최했다.
* C-Tech : 에너지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이 가능한 기후(Climate), 탄소(Carbon), 청정(Clean)에 관한 에너지·기후 기술

이번 포럼은 기존의 ?에너지혁신기업 연대·협력 포럼?을 재정비하여 작년 11월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는 행사로 에너지혁신벤처의 성장을 위한 금융 연계 및 비즈니스 협력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22년 기준 에너지혁신벤처 실태조사 결과 발표를 시작으로 주요 기업별 민간투자·지원 동향 및 우수 성장사례 발표가 차례로 진행되었다.

민간투자·지원 동향으로는 한국성장금융 조익재 본부장이 ‘에너지산업 벤처투자 동향 및 시사점’에 대해 발표했고, GS벤처스 홍석현 심사역이 ‘GS그룹의 기후테크 투자방향’을, 대한상의 김녹영 실장이 ‘산업계 탄소중립 이행 지원현황’을 설명했다.

그 다음으로 테라릭스 김태영 대표의 공랭식 연료전지 모빌리티 적용, 에이치투 한신 대표의 차세대 배터리 분야 에너지신산업 창출 등 에너지혁신벤처 우수 성장 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이어 부대행사로 진행된 투자유치설명회에서는 사전심의를 거쳐 선정된 에너지혁신벤처 8개사*의 기업비전과 사업계획이 발표되었으며, 지원투자기관에 대한 기술등급평가, 기후·환경성 컨설팅이 진행되었다.

또한 에너지혁신벤처와 70여명의 투자심사역**과의 1:1 투자유치 상담회가 진행되어 기업의 자금조달 방안, 애로사항 등을 상담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되었다.
* 마이크로포어, 신성이앤에스, 젠트로피, 오버플러스파워, 티에스엠테크놀로지, 쉐메카, 한국전력정보, 메타파스
** ㈜크로스로드파트너스, ㈜하나벤처스, CKD창업투자, ES인베스터, NH벤처투자 등 70개사

산업부 에너지기술과장은 “최근, 에너지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에너지신산업 유망 핵심기술을 보유한 에너지혁신벤처가 산업·기술의 혁신을 이끌고 있으며, 새로운 기업 발굴과 성장세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이에 정부는 작년 9월 ?에너지혁신벤처 육성 방안?을 마련하여 2030년까지 5천개의 기업 발굴을 목표로 유망기술 사업화 금융 확대, 우선구매를 통한 초기 수요 견인, 국내외 시장진출 지원 강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포럼이, 에너지혁신벤처 간 우수기술 교류 및 투자유치 기회 제공을 통해 에너지혁신벤처가 한 단계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행사 개요>  
◇ 일시 / 장소: ‘23.4.19.(수) 10:00~17:30 / 여의도 전경련회관(3층, 에메랄드홀)

◇ 참석: 산업부 에너지기술과장, 에너지기술평가원장, KEMIA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성장금융, GS벤처스, 에너지혁신벤처 등 100여명

◇ 구성: ①에너지혁신벤처 C-Tech 포럼(10:00~11:45), ②투자설명회(13:30~17:30)

?

(산업통상자원부, 2023.04.1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63434&pageIndex=3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1-01&endDate=2023-05-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5 유럽연합(EU) 집행위,「핵심원자재법」및「탄소중립산업법」초안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45
214 환경영향평가 제도 합리화하여 현장효율성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43
213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환경기초시설부터 탄소중립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74
212 수소특화단지 지정을 향한 첫발을 내딛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75
211 기후변화로 인한 농촌 물부족, 농촌용수개발로 극복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58
210 탄소가치 평가하여 신재생에너지 사업자에 2,970억 원 보증공급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82
209 유엔 물 총회 계기로 녹색전환 이니셔티브 참여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18
208 공짜야근, 임금체불, 근로시간 산정 회피 등 단호히 대처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661
207 수소 버스와 화물차 보급을 위해 민관이 힘을 합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04
206 여성기업 295만개로 역대 최대, 수익성·생산성 등 경영지표 개선 비회원 2023-05-23 748
205 ’2050 탄소중립 달성과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윤석열 정부 탄소중립?녹색성장 청사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36
204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 승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88
203 유연한 근무시간 운영이 연차휴가 사용에 도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86
202 카카오 등 74개 기업, ESG 차원에서 청년 5천명에 일경험·훈련·멘토링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71
201 환경공단-스타벅스, 커피찌꺼기 재자원화 촉진에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62
200 이정식 장관, 근로시간 개편 관련 근로시간 기록·관리 우수사업장의 청년 근로자, 인사담당자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25
199 정부세종청사, 다회용컵 순환시스템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37
198 탄소중립 시대, 가축분뇨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해결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06
197 정부세종청사, 다회용 컵 순환시스템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776
196 국표원, 글로벌 기술규제 선제 대응에 적극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3 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