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 골든타임 10년, 기후변화과학과 기술에서 해법을 찾는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6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4

□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 이하 ‘탄녹위’)와 기상청(청장 유희동)은 국회기후변화포럼과 공동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종합보고서 승인 기념 포럼’을 4월 12일(수)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개최하였다.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일시/장소 : ‘23.4.12.(수) 14:00 / 여의도 전경련회관 다이아몬드홀

  - 실시간 유튜브 생중계 : 기상청, 국회기후변화포럼

 

 ? 주     제 : 기후위기를 완화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우리의 과제

 

 ? 참     석 : 김상협 탄녹위 민간위원장, 유희동 기상청장, 지성호 국회의원, 한화진 환경부장관, 이회성 IPCC 의장 등

 

 ○ “기후위기를 완화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우리의 과제”를 주제로 개최된 이번 포럼에는 김상협 탄녹위 민간공동위원장, 유희동 기상청장과 한정애 국회의원(영상축사), 지성호 국회의원한화진 환경부장관이회성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의장을 비롯한 기후 위기 대응 및 국제협력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하였다.

 

 ○ 참석자들은 지난 3월 19일 IPCC 제58차 총회(스위스 제네바)에서 승인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제6차 평가보고서(AR6*) 종합보고서」의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 및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 Sixth Assessment Report

 

□ 제6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종합보고서 작성과 승인을 직접 진두지휘한 이회성 IPCC 의장은 기조연설에서, 이번 IPCC 제6차 종합보고서의 핵심 메시지로 기후변화의 심각성, 앞으로 10년간 단기 기후 행동의 시급성 중요성을 강조했다.

 

 ○ 이회성 의장은, 현재(2011~2020년) 전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1.1℃ 상승하는 등 온난화 속도가 이례적임을 지적하며, 인간의 영향이 그 원인임이 명백하다고 말했다.

 

 ○ 또한 현재 전 세계에서 제출한 감축목표로는 1.5℃ 이하로 지구온난화 속도를 억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이산화탄소 외에도 메탄을 비롯한 빠르고 급격한 온실가스 감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 현재까지(~’20.) 이행된 정책이 강화되지 않는다면 2100년까지 3.2℃ 지구온난화 전망,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21.) 이전 각 당사국이 제출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로는 2100년까지 2.8℃ 지구온난화 전망

 

 ○ 다만, 이회성 의장은 이번 종합보고서를 통해 아직 우리에게는 가능성이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번 10년간(This decade) 에너지, 기반 시설, 기술, 정책, 수요 부문 등 전 지구적 관점에서 가능한 적응과 완화를 위한 단기 기후 행동의 실천과 확산이 필요함을 힘주어 말했다.

 

 ○ 이어진 토론에서는 종합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극한 기후현상 및 기후변화 전망기술 개발, 저탄소 기술?산업 육성 및 탈탄소 시대의 전환을 통한 새로운 경제성장 가능성, 에너지 효율성 제고 및 공급구조 다각화, 새로운 탄소흡수원의 발굴?관리 필요성 등이 제기되었다.

 

□ 이번 포럼에 앞서 지난 4월 11일 정부는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확정하였으며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30년까지 40% 줄이는 것을 재확인하고, 중장기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방안을 비롯하여 탄소중립?녹색성장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전 분야의 추진과제를 발표하였다.

 

 ○ 이와 관련하여 이회성의장은 지난달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우리나라는 산업계 탄소 배출량이 많아 기술 혁신을 통해 탄소중립 달성이 가능한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에너지믹스(energy mix*)는 각국의 상황에 따른 선택이 필요한 과제로 원자력 발전과 수소 기술, 재생에너지의 동행을 통해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공급원을 적절히 혼합 사용하여 에너지 공급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 유희동 기상청장은, “이번 종합보고서에서 강조한 탄소중립 달성 뿐 아니라 현재 이행되고 있는 기후위기 적응, 완화 정책의 점검을 위해서는, 기후 위기 감시와 예측의 강화가 필요합니다.” 라면서, “기상청은 기후 위기 감시·예측의 총괄·지원 부처로서 신뢰도 높은 데이터 생산·제공에 기반한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하여, 국가 탄소중립 대응의 충실한 기반 구축하겠습니다.” 라고 말했다.

 

 김상협 탄녹위 공동위원장은 “정부 4월 11일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수립?발표한 것은, IPCC 제6차 보고서가 강조한 기후위기 대응의 속도감 있는 이행과 실천의 관점에서 시의적절한 방향으로, 앞으로 기본계획의 추진을 위해 모두 힘을 모아야 합니다” 고 밝히며 “탄녹위는 대한민국 탄소중립?녹색성장을 이끄는 구심점으로서, 앞으로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보고서가 주는 메시지를 기반으로 기본계획을 끊임없이 수정?보완하고 2035 NDC도 차질없이 수립?이행해나가겠습니다” 고 말했다.






(환경부, 2023.04.1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62344&pageIndex=1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4-01&endDate=2023-04-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55 에너지혁신벤처 성장을 위한 협력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2
254 인천시, 수소버스 130대(전국1위), 자체 수소생산도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87
253 주민소통 체계화로 해상풍력 갈등 해소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0
252 지구온난화 물질(HFC) 규제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75
251 이제 가족친화인증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닙니다 비회원 2023-05-24 698
250 해양환경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 활성화를 위한 기업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81
249 이제 산업재해 예방도 신기술로 똑똑하게! 스마트안전장비 도입 비용의 80%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938
248 2023년 환경일자리 으뜸기업을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18
247 청정수소 인증, 첫걸음 내딛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09
246 동물실험 연구기관의 윤리경영 시대 개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09
245 이기순 차관, 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62
244 해피사이언스 축제에서 만나는 탄소중립 실천 이야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09
243 소비자단체와 소통 강화를 통한 제품안전 확보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902
242 복잡·다변한 전력계통 이슈 해결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0
241 중견기업계, 매년 에너지사용량 1% 감축키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0
240 산업부, 업계와 함께 ‘산업단지 태양광 활성화’를 위해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3
239 2022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1.01%로 법정 구매 비율 달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94
238 산업단지 통합 안전관리로 안전강화 및 기업부담 완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73
237 영국 에너지부와 에너지 전환을 위한 공동선언문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38
236 국립과천과학관 브랜드 기획전 ‘탄소C그널’ 개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