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정보, 신뢰도 높인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6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4

  환경부 소속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센터장 양한나)는 4월 20일부터 이틀간 제주 서귀포시 스위트호텔에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대기 배출원 조사*’의 전산 시스템과 조사체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17개 광역지자체 공무원과 상호 협조체제를 굳건히 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빅데이터’의 조사 수집률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 관련 조사 법령: 대기환경보전법 제17조(대기오염물질 배출원 및 배출량 조사) 등

 

  대기오염물질 대기환경 빅데이터는 배출·방지시설의 운영현황, 질소산화물·황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 자가측정 사항, 연료·원료 사용량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는 대기배출원관리시스템(SEMS)*에 수집된 전국 6만여 개 사업장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자료를 검증해 전산화한다. 검증을 마친 배출원 수집자료는 초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며,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대기질영향예측시스템(NEAS)**의 중요한 입력자료로도 활용된다.


 * 대기배출원관리시스템(SEMS, Stack Emission Management System)은 전국 대기 배출사업장의 배출원 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전산 시스템

 ** 대기질영향예측시스템(NEAS, National Emissions and Air quality assessment System)은 배출량, 기상 등을 고려해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과 배출량 저감 효과 등을 시뮬레이션하는 시스템

 

  이날 설명회에서는 △대기 배출시설 자가측정 결과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조사현황, △올해 ‘대기 배출원 조사’ 추진계획, △소규모(4?5종) 사업장 대기 배출원 조사 주기 변경(4년→1년)에 따른 배출원 관리 방향 등을 소개한다. 특히 이번 설명회를 통해 대기 배출원 조사에서 수집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고 대기환경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긴밀한 협력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는 현재 구축 중인 ‘2단계 대기배출원관리시스템’의 개발 현황과 유관기관의 대기 분야 시스템*의 연계도 소개한다. 그간 배출원 조사 대상 사업장의 배출원 자료는 여러 시스템에 중복으로 입력해야 했지만, 하나의 시스템에 입력하면 모든 시스템에 자동 입력되도록 연계 기능이 개선되어 업무 효율과 조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 새올행정시스템, 통합환경허가시스템(IEPS) 등

 

  양한나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장은 “이번 설명회를 통해 전국 6만여 개 사업장의 대기 배출원 조사 현황을 공유할 것”이라며, “17개 광역지자체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대기 배출원 빅데이터의 정확도와 활용도를 높여가는 협력의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환경부, 2023.04.2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63632&pageIndex=1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4-01&endDate=2023-04-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1 순환경제를 통한 탄소중립, 기후테크가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598
300 수소 생산하며 나온 이산화탄소, 깨끗한 물 만들 때 쓴다…온실가스 감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584
299 2050년까지 최대 생산량의 80% 이상 바이오가스 의무 생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46
298 환경기업의 의견에서 녹색산업의 길을 묻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21
297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및 지속 가능한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상생.협력 일자리 컨설팅’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09
296 첨단장비로 대기오염물질 불법배출 집중관리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1
295 중대재해 예방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바다일터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02
294 고용노동부, 4월 26일 전국의 ‘끼임 사고’ 위험 업종 집중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70
293 유출 지하수 활용, 지속가능한 물순환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29
292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을 위한 순환경제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5
291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 23종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75
290 중소협력업체 안전보건 수준 향상을 위해 대기업이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59
289 해양쓰레기 유입보다 수거 늘려 획기적으로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06
288 해양쓰레기 유입보다 수거 늘려 획기적으로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4
287 "오늘도 지구를 구하는 일상"… 기후변화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86
286 전국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정보, 신뢰도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63
285 한국장애인고용공단-한화생명보험(주) ‘장애인 고용을 통한 ESG경영 실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2
284 국제사회의 녹색전환에 대한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89
283 프로야구 일회용품 줄이기 팔 걷어붙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05
282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보고서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