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및 지속 가능한 지역 일자리 창출을 위한 ‘상생.협력 일자리 컨설팅’ 본격 추진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2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4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노사발전재단(사무총장 김대환)은 지역의 경제주체인 노사민정이 양보와 협력으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일자리 모델을 마련할 수 있도록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에 상생·협력 일자리 컨설팅을 지원한다.

 

  특히, 2023년부터 격차해소형 컨설팅을 추가하여, 노동시장 이중구조 완화 및 산업구조 전환이 필요한 업종에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노사발전재단은 지역 일자리 모델을 구축하고 실행하기 위한 「2023년 상생·협력 일자리 컨설팅 착수보고회」를 4월 26일(수)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2023년도 상생·협력 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에 선정된 충청북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 강원도 태백시, 울산광역시 동구를 포함한 10개 자치단체* 및 노사민정협의회, 컨소시엄 기관, 고용노동부, 전문가 등 관계자 70여 명이 함께 참석했다.


* 충청북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울산광역시 동구, 강원도 삼척시, 강원도 태백시, 충청남도 부여군, 전라북도 김제시,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남도 순천시

  

  회의에 참석한 10개 자치단체 관계자 및 지역 일자리 전문가들은 지역별 고용·노사 관계 현안을 공유하고 구체적인 일자리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사업계획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이어갔다.

 

  올해 신규로 도입된 상생·협력 일자리 격차해소형 컨설팅을 지원받고 있는 전라남도와 울산광역시 동구는 조선업 재도약을 위해 지역의 노사민정이 중심이 되어 조선업 상생 모델을 발굴하기로 하였다. 특히, 지난해 11월에 발족한 ‘조선업 상생협의체’를 통해 논의된 과제 이행을 위한 세부 실행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충청북도는 지역 내 반도체 기업과 협력하여 반도체 패키징,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 반도체산업 클러스터 조성안을 발표하였고, 이를 통해 반도체산업의 선도적인 일자리 모델을 추진할 예정이다.

 

  강원도 삼척시와 태백시는 폐광지역 인력을 활용한 일자리 전환 및 대체 산업 발굴 모델을 추진한다. 특히 태백시는 폐광지역을 활용한 산림 목재 클러스터 사업과 연계하여 바이오에너지 기술훈련을 통한 일자리 창출 기반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이 밖에 지난해에 이어 연속 지원을 받은 △전라북도 고창군과 전라남도 순천시는 각각 모빌리티 및 마그네슘 소재 부품 단지 조성, △제주특별자치도는 청정바이오 등 제주 주력산업의 거버넌스 구축으로 일자리 모델 창출, △충청남도 부여군과 전라북도 김제시는 스마트농업을 활용한 특화단지 조성으로 일자리 창출 실행방안을 각각 발표하였다.

 

  이어서 자치단체별 사업계획을 토대로 노사 관계 및 산업의 전문가들이 사업의 추진 방향 및 이슈 사항을 점검하고, 지역별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설정하기 위한 토론을 진행하였다.

 

  노사발전재단 김대환 사무총장은 “상생·협력 일자리 컨설팅 지원사업을 통하여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모델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라며, “노사발전재단도 다양한 지역 일자리 모델을 발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 노사발전재단은 △노사상생을 위한 재정지원 및 교육사업 △일터혁신컨설팅 및 일문화개선 지원 △신중년의 인생3모작 지원 △노동분야 국제교류협력을 지원하는 고용노동부 산하 공공기관이다.

 






(고용노동부, 2023.04.2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64729&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4-01&endDate=2023-04-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485 과기정통부, 수소분야 연구성과 전시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523
484 2023년 2분기 신규화학물질 71종 유해성·위험성·건강장해 예방조치사항 공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504
48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중소기업 친환경(그린)·디지털 전환 정책, 수출시장 다변화 정책 소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61
482 공공기관 경영진 대상 최초 고객중심경영 컨설팅 교육을 통해 고객서비스 향상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528
481 건설근로자공제회, SH공사와 건설근로자 삶의 환경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86
480 장애인고용공단, 교촌에프앤비(주)와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34
479 박진 장관,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WEF) 회장과 글로벌 복합위기 극복 협력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548
478 수소 분야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출연연 어벤져스' 뭉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85
477 대형사업장 887곳 굴뚝 자동측정기기 2022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15
476 녹색산업 성장 거점화 마련... 녹색융합클러스터 기본계획 수립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00
475 해양생태계 통합 관리 위한 '5대 해양생태축 관리계획' 수립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21
474 제품 사고조사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국민 안전을 지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73
473 청정수소 인증제, 민관이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55
472 대학과 함께, 에너지 인재 2만 명 육성 본격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19
471 산업단지 내 신재생 발전 기반시설(인프라) 구축으로 수출기업 ‘RE100’ 고민 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37
470 캠핑카 오·폐수, 주유소에서 깨끗하게 처리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01
469 2023년 환경 데이터 활용 및 분석 공모전, 수상작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544
468 공공부문의 잘못된 노사관행 바로잡을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52
467 환경부, 중소기업중앙회와 환경정책 개선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70
466 탄소흡수능력 측정 고도화 기술개발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3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