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탄소중립 전환 융자지원 접수 결과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2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2023년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이하, “융자사업”) 신청접수를 4월 28일(금) 마감했다. 53개 기업이 3년간(‘23년~’25년) 총 1조 3,866억 원 규모의 탄소중립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융자 7,303억 원, 이차보전 282억 원 지원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미래 기술·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장기?대규모 시설 및 연구개발 투자 프로젝트

 

‘23년도 지원 경쟁률은 신청금액 기준으로 융자 13.5:1, 이차보전 3.5:1로 나타났다. 이는 융자지원만 공모했던 ’22년도 경쟁률 4.9:1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이번에 신청한 기업의 탄소중립 시설과 연구개발 투자계획을 분석해보면, 우리 산업계가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다양한 선도프로젝트 분야에 지속적인 탄소중립 투자를 이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업 유형별로는 중소·중견기업이 참여 수가 86.8%(46개사), 투자 규모는 69.5%(9,656억 원)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견기업의 전년 대비 참여 수는 2배(‘22년 3개사 → ’23년 6개사), 투자 규모는 5배(‘22년 864억 원 → ’23년 4,398 억 원) 증가했다.


<‘23년 선도프로젝트 신청기업 유형별 투자 규모>

(단위: 개사, 억원)

구분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합계

신청기업 수

7(13.2%)

6(11.3%)

40(75.5%)

53 (100.0%)

투자

규모

시설

4,071(32.0%)

4,398(34.5%)

4,270 (33.5%)

12,739 (100.0%)

R&D

161(14.3%)

- (-)

966 (85.7%)

1,127 (100.0%)

합계

4,232(30.5%)

4,398(31.7%)

5,236(37.8%)

13,866 (100.0%)

 

프로젝트 유형별로는 자원순환, 건물(기타) 분야의 신청수요가 각 5건으로 가장 많았다. 친환경 자동차, 이차전지, 제로에너지건물 분야가 각 4건, CO2 포집, 에너지 효율 향상 분야 각 3건, 철강, 석유화학, 차세대 태양광 및 풍력, 정유, 에너지 저장, 자동차, 조선 분야 각 2건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가 접수되었다.

’22년 신청수요와 비교하면 친환경 자동차와 제로에너지 건물 분야 수요가 크게 증가했다.(’22년 각 1건 → ‘23년 각 4건) 철강, 정유, 석유화학, 시멘트 등 탄소 다배출 업종의 온실가스 감축 투자 프로젝트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22년 총 8건 → ‘23년 총 7건)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 사업의 전담기관인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접수된 53개 프로젝트에 대해 신청 적격성 등 적합성 검토를 진행 중이다. 이를 통과한 프로젝트는 정책 부합성, 기술 역량, 시장 잠재력, 경영 역량에 대해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가 5월 중 기술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는 융자사업의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높이기 위해 감축효과(감축량) 평가지표 배점을 상향했다. 또, 평가에 검증기관을 참여시켜 객관성을 높이고, 우수성이 입증된 프로젝트가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산업부는 “융자사업이 우리 산업계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핵심 금융지원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향후에도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5.0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65914&pageIndex=2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5-01&endDate=2023-05-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95 중대재해 예방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바다일터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12
294 고용노동부, 4월 26일 전국의 ‘끼임 사고’ 위험 업종 집중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4
293 유출 지하수 활용, 지속가능한 물순환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43
292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을 위한 순환경제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7
291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 23종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85
290 중소협력업체 안전보건 수준 향상을 위해 대기업이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1
289 해양쓰레기 유입보다 수거 늘려 획기적으로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3
288 해양쓰레기 유입보다 수거 늘려 획기적으로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86
287 "오늘도 지구를 구하는 일상"… 기후변화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696
286 전국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정보, 신뢰도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76
285 한국장애인고용공단-한화생명보험(주) ‘장애인 고용을 통한 ESG경영 실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33
284 국제사회의 녹색전환에 대한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12
283 프로야구 일회용품 줄이기 팔 걷어붙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23
282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보고서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37
281 누구나 할 수 있는 숲 조성 글로벌 캠페인을 시작한다 - 외교부·산림청·유엔아동기금 한국위원회, 가상세계(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93
280 산정 방법 개선에 맞춰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851
279 우리가 탄소중립 선도하는 대표 사업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67
278 기후위기 대응 골든타임 10년, 기후변화과학과 기술에서 해법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55
277 ‘2050 탄소중립 달성과 녹색성장 실현’을 위한 국가 전략 및 제1차 국가 기본계획 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93
276 탄소중립에 따른 위기, 지역 주도 준비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4 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