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1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5

  외교부는 한국시민사회SDGs네트워크*과 함께 5.25.(목) LW컨벤션센터에서 「제6회 열린 SDGs 포럼」을 개최하였다.


  * 국내 시민사회의 지속가능발전목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시민단체 모임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국제사회가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한 경제·사회·환경 분야 17가지 목표로 2015.9월 유엔에서 채택

     - ①빈곤퇴치 ②기아종식과 농업 ③보건 ④교육 ⑤성평등 ⑥물과 위생 ⑦에너지 ⑧경제성장 ⑨산업화 ⑩불평등 ⑪지속가능도시 ⑫지속가능소비생산 ⑬기후변화 ⑭해양생태계 ⑮육상생태계 ?평화?제도 ?글로벌파트너십 

 

  이번 포럼은 ‘유엔 지속가능발전 8년 평가, 2030년 달성을 위한 7년의 행동 과제’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정부, 학계, 시민사회, 민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대면·비대면으로 참석하였다.

 

  원도연 외교부 개발협력국장은 개회사를 통해 기후위기, 식량위기, 환경오염 등 글로벌 복합위기를 극복하고 2030 지속가능발전의제를 이행함에 있어 국제사회의 기대에 걸맞은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여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을 실현해 나갈 것임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최근 튀르키예 지진 대응 지원과 우크라이나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앞으로도 공적개발원조(ODA) 예산 확대, 인도태평양 전략 이행 과정에서 개발협력 파트너십 강화 등을 통해 기여외교를 수행해 나가겠다고 하였다. 


  ※ 개회식에서 원도연 개발협력국장 이외 방세환 지속가능발전지방정부협의회 부회장, 허재영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상임회장, 이덕희 한국시민사회SDGs네트워크 이사장 인사말 시행

 

  한편 동 포럼의 세션 1에서는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올해 유엔 지속가능발전고위급정치포럼(HLPF, High-level Political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에서 논의될 중점 점검 목표**에 대한 국내 이행 현황을 점검하였으며, 세션 2에서는 올해가 SDGs 달성 목표 시한인 2030년의 중간지점이 되는 해인만큼 국내 이행을 배가할 필요가 있는 SDGs 목표***에 대한 향후 개선과제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었다.


  * 글로벌 차원의 SDGs 이행 점검 플랫폼으로 매년 중점 점검 대상 4∼5개 목표를 선정

 ** SDG 목표6(물과 위생), 목표7(에너지), 목표9(산업화), 목표11(지속가능한도시)

*** SDG 목표5(성평등), 목표10(불평등), 목표13(기후변화), 목표14(해양생태계), 목표15(육상생태계), 목표17(글로벌파트너십)

 

  이번 포럼은 올해 7월 유엔 지속가능발전고위급정치포럼(HLPF)과 9월 SDG 정상회의를 앞두고, 정부, 시민사회, 기업, 학계 등 국내 이해관계자가 모여 함께 국내 SDGs 이행 현황을 중간 점검하고 향후 과제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교환하는 뜻깊은 기회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외교부, 2023.05.2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1549&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08,A00019,A00001,A00023&startDate=2023-05-01&endDate=2023-05-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5 사우디에서 녹색기술 교류의 장을 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30
334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 활성화를 위해 환경규제 개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38
333 환경부, 중동에 녹색산업 수주지원단 파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8
332 환경부, 세계 최대 액화수소 생산시설 구축 진행 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4
331 환경부, 일회용품 줄이기 참여 독려를 위한 실천운동 전개 비회원 2023-05-25 608
330 한-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혁신 정책 협력 발판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7
329 순환경제 신사업 발굴에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6
328 여성의 창업?신산업 분야 진출을 위한 네 번째 ‘행복동행’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5
327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확정 본격적인 탄소중립 기술개발 청사진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53
326 ‘탄소중립에 따른 기업 자산손실 영향평가 방법론 개발 연구용역’은 규제 아닌 지원 목적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2
325 친환경농산물의 비의도적 농약 오염에 대한 재심사 기회 넓혀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41
324 동남아 국가들과 온실가스 국외감축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5
323 여가부, 한국폴리텍대학과 여성인력 고부가가치 산업 진출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559
322 캐나다와 핵심광물 협력으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23
321 일하는 사람 모두 고용·산재보험 가입 필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599
320 무탄소 에너지 활용해 기업부담 낮춰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14
319 5월부터 10월까지 전국 해변에서 국민 참여 연안정화활동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38
318 도시가스에 수소 혼입, 연구 시작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58
317 가족친화 우수기업을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21
316 지속가능한 연근해어업 발전법 제정·입법예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