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과학기술로 해결책을 찾는다

담당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68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07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5.25(목)부터 5.27(토)까지 3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서 기후변화대응 기술(이하 ‘기후기술’) 분야의 최신 기술개발 성과를 국제 사회에 선보이는 「기후기술관」을 벡스코 제2전시장 4홀에서 운영하고, 세계 각국 전문가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의 도전 과제를 논의하는 「기후미래포럼」을 5.25(목) 오후 3시에 벡스코 제2전시장 1층 회의실에서 개최한다.
 
올해 3월 발표된 IPCC 제6차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도상승은 2040년 전에 1.5℃를 초과할 예정이며, 이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84%까지 감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기정통부는 IPCC 제6차 종합보고서가 예측한 미래의 변화를 과학기술로 대응하기 위한 세 가지 질문을 던지고, 그동안 국내 연구기관이 확보한 과학기술을 통해 그 해답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기후기술관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질문은 ▲“화석연료 패러다임의 대전환, 실현 가능한가?”로, 전시관 안의 에너지관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제로를 향해: 에너지, 자원에서 혁신으로”라는 주제 하에 한국형 소형원자로(SMART)부터 세계 최고 수준의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인 KSTAR, 세계 최고 수준의 초전도핵융합 연극저온 수소저장 소재 등 친환경 에너지 기술과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그리드시스템 등 에너지 효율화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국형 우주태양광 발전 위성에 적용 가능한 장거리 무선전력전송기술, 인공지능?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스마트조명 시스템 등 차세대 에너지 기술을 선보인다.
 
두 번째 ▲“탄소중립(Net-zero), 온실가스 감축만으로 가능한가?”에 대해, CCUS(탄소 포집?저장?활용)관에서 그 답을 확인할 수 있다. “제로를 넘어: 탄소, 감축을 넘어 활용으로”를 주제로,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과 더불어 버려지는 탄소를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활용하는 탄소자원화 기술을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세계 최고 성능의 저에너지 소비형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이 적용된 테스트베드, 산업폐가스를 활용하여 생분해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공정 모형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후변화의 본격화, 우리의 미래는 안전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은 기후?환경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적응의 시간: 기후변화, 위기를 공존으로”를 주제로 운영되는 기후?환경관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전 지구 극한기상 및 기후변화 예측 시스템과 더불어 태양광 기반 수질정화 기술, 인공강수 기술 등 기후?환경 분야 최신기술을 시연한다.
 
전시관과 더불어 과기정통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의 도전과제를 논의하는 「기후미래포럼」을 개최한다. 5.25(목) 오후 3시부터 벡스코 제2전시장 1층 회의실에서 개최되는 이 포럼에서는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이 NDC 달성을 위한 한국의 그린빅뱅 전략을 발표하며, 보스턴컨설팅그룹에서 탄소중립 글로벌 동향에 대한 산업계의 대응방안을 소개한다.
또한 포럼에는 세계 각국의 산?학?연 전문가가 직접 참석하여 기후기술관에서 던졌던 세 가지 질문에 대한 세계 각국과 산업계의 대응 현황과 전망을 공유한다.
 
기후기술관에서 제시한 첫 번째 질문인 화석연료 패러다임의 대전환과 관련하여,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에너지그리드 시스템, 수소 생산단가 절감을 위한 제조기술 등 미국의 에너지 분야 최신 기술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두 번째 주제인 탄소 감축, 활용과 관련해서는 세계적인 화학회사인 BASF에서 고분자 전해질막(PEM,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수전해 기술개발 현황, 유럽 화학클러스터(Antwerp)의 대규모 CCS 프로젝트 등 탄소중립을 위한 산업계의 기술혁신 사례를 공유한다.
 
마지막 주제인 기후변화 적응의 시간에 대해서는 싱가포르국립대학의 Swee Ching Tan 교수가 대기 중 수증기 포집기술을 최초 개발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술혁신 방향을 발표한다.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기후기술관 전시정보 및 기후미래포럼 프로그램 세부정보 등 행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기후?환경 기술관 누리집(www.wce-entec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5.2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1537&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33,A00031,A00015,A00012,A00013,A00032&startDate=2023-05-25&endDate=2023-05-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5 사우디에서 녹색기술 교류의 장을 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30
334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 활성화를 위해 환경규제 개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38
333 환경부, 중동에 녹색산업 수주지원단 파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8
332 환경부, 세계 최대 액화수소 생산시설 구축 진행 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4
331 환경부, 일회용품 줄이기 참여 독려를 위한 실천운동 전개 비회원 2023-05-25 608
330 한-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술혁신 정책 협력 발판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7
329 순환경제 신사업 발굴에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6
328 여성의 창업?신산업 분야 진출을 위한 네 번째 ‘행복동행’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5
327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확정 본격적인 탄소중립 기술개발 청사진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53
326 ‘탄소중립에 따른 기업 자산손실 영향평가 방법론 개발 연구용역’은 규제 아닌 지원 목적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2
325 친환경농산물의 비의도적 농약 오염에 대한 재심사 기회 넓혀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41
324 동남아 국가들과 온실가스 국외감축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5
323 여가부, 한국폴리텍대학과 여성인력 고부가가치 산업 진출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559
322 캐나다와 핵심광물 협력으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23
321 일하는 사람 모두 고용·산재보험 가입 필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599
320 무탄소 에너지 활용해 기업부담 낮춰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14
319 5월부터 10월까지 전국 해변에서 국민 참여 연안정화활동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38
318 도시가스에 수소 혼입, 연구 시작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58
317 가족친화 우수기업을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21
316 지속가능한 연근해어업 발전법 제정·입법예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