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무공해차(전기차, 수소차) 보급 중심으로 전환 중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9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21

2023년 6월 1일자 한겨레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실적 ‘역주행’> 기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드림

?

□ 보도 내용
지난해 공공부문 저공해차 구매·임차 비율이 전년보다 다소 낮아짐
※ (저공해차 구매·임차비율) 92.9%('21) → 90.2%('22)

□ 설명 내용

<저공해차 구매·임차 실적(‘21∼’22년)>
(단위: 대)

구 분

합 계

저공해차*

일반

차량

소계

1종

2종

3종

2021년

7,458

(100%)

6,927

(92.9%)

5,504

(73.8%)

1,301

(17.5%)

122

(1.6%)

531

(7.1%)

2022년

8,072

(100%)

7,282

(90.2%)

6,385

(79.1%)

752

(9.3%)

145

(1.8%)

790

(9.8%)

증감

+614

(-)

+355

(△2.7%p)

+881

(5.4%p)

△549

(△8.2%p)

+23

(+0.2%p)

+259

(+2.7%p)

* (1종) 전기차·수소차(무공해차), (2종) 하이브리드차, (3종) 저공해차 배출허용기준에 맞는 LPG·휘발유차 등


'22년 공공부문 의 구매·임차 차량이 전년 대비 614대 증가하는 동안 무공해차(전기차, 수소차)는 881대가 대폭 증가하였고, 2종 저공해차(하이브리드차)는 549대가 대폭 감소하였음

'22년 저공해차 구매·임차 비율이 전년 대비 2.7%p 낮아진 이유는 하이브리드차 등 2·3종 저공해차 보급에서 전기·수소차 중심의 무공해차 보급으로의 정책 전환과 전체 구매·임차차량 대수 증가에 따른 것으로서, 이를 가지고 역주행이라고 할 수 없음

한편 보도된 바와 같이 기관별 의무구매 비율을 달성한 기관의 비율은 92%로 전년 대비 8.3%p 증가하는 등 의무구매제는 질적으로 향상되었으며, '23년부터는 의무구매·임차 비율을 무공해차 100%로 강화할 예정임

?

(환경부, 2023.06.0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3104&pageIndex=29&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01&endDate=2023-06-1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55 상생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586
354 부산에서 세계 기후?에너지산업의 미래를 논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7
353 기후위기, 과학기술로 해결책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86
352 국제감축을 위한 체계적 지원 확대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46
351 한·일 에너지 협력 만 5년 만에 다시 한 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17
350 원전으로 청정수소 활용 앞당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0
349 기후에너지 별들의 경쟁, 국내 최대규모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6-07 632
348 제6회 열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18
347 녹색산업 해외발주처-국내기업 교류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58
346 기후에너지 별들의 경쟁, 국내 최대규모 개최 - 한덕수 총리,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참석(5.25~…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18
345 탄녹위-해수부, 한반도 연안 기후위기 적응력 강화 위한 공동토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86
344 부산항 등 48개 항만건설공사 현장의 근로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집중 점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43
343 제2차 민관합동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책협의회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37
342 한-미 간 해양기후 재난 예측, 블루카본 등 기술개발 협력을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7
341 근로자의 ‘워라밸’ 지원하는 기업·기관을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3
340 “안전일터” 우리 현장이 최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748
339 정부간 협력으로 이집트에 첫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장 준공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88
338 생물다양성 보존 약속, 우리 모두 실천해요… 생물다양성의 날 기념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92
337 환경부, 지역 환경보건 정책 지원을 위한 지자체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54
336 국립공원 해양탄소흡수원, 축구장 32배 넓이 추가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5-25 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