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기술원, 수출기업과 국제 탄소규제 공동 대응 협력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5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21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달성이 새로운 시장 규제로 부상함에 따라 우리 수출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6월 8일 오후 서울 중구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현대자동차㈜, ㈜포스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23개 기업들과 국제 탄소규제 공동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기업들이 제품의 전과정 환경성 평가 방법(작성지침)과 기초자료(전과정목록) 개발*에 협력하고, 이를 통해 제품의 환경성을 평가하는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활성화하는 등 국제 환경규제에 함께 대응한다는 것이다.
* 자원 채취부터 사용·폐기에 이르는 제품의 전과정에 대한 환경성을 평가하는 방법(작성지침)과 제품의 전과정에 대한 환경영향을 목록화하는 전과정목록(LCI DB) 개발


국제사회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규제를 무역규제에 접목하고 있다. 미국은 증권거래위원회 기후공시, 유럽연합은 공급망 실사 지침, 배터리규정, 에코디자인 등을 새로 도입하고 있으며, 세계적 기업들은 환경·사회·투명경영(ESG)과 공급망 관리를 위해 협력회사에 환경성 평가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제품과 화학제품 등 소비재와 중간재를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에게 환경성 평가가 절실해 졌는데, 우리 산업 전반에 걸친 환경성 평가 기반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2030년까지 국가 LCI DB를 1,000개 개발해 유엔환경계획(UNEP)이 운영하는 공유체계(GLAD)*에 등록하고, 제품별 환경성 평가지침을 120개 개발하는 등 수출 산업계를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 GLAD(Global LCA Data Access network)는 LCI DB의 국제 공유 플랫폼

?

최흥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국내 산업계 특성을 고려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환경성 평가 기반을 구축하는 일에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환경부, 2023.06.0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3880&pageIndex=2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01&endDate=2023-06-1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43 고용노동부, 디엘이앤씨의 전국 모든 시공현장 일제 감독 등 엄중 조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0 565
542 외국인근로자 사업장 변경제도 개선 등 산업현장의 원활한 인력활용 적극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0 575
541 “고용노동부·안전보건공단·주요 건설업체 CSO 사고사망 예방을 위한 소통의 시간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0 542
540 2023년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 꿈 장학생 2,000명 선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0 554
539 풀무원,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개소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0 588
538 6월 및 상반기 기준 고용률(63.5%, 62.2%)은 역대 최고 실업률(2.7%, 3.0%)은 역대 최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530
537 대학 경쟁력 강화 및 미래 인재양성 투자 적극 지원 비회원 2023-07-19 490
536 창의력 넘치고 업무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한 복장 완전 자율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86
535 적극행정 성과를 부내에 공유하고, 우수직원을 격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85
534 장애인 돌봄 및 활동지원, 의료지원 강화에 적극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79
533 저출산·고령사회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외국인 인력 유치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82
532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개선 적극 노력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501
531 제27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일자리 전담반(TF) 제7차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524
530 한-아랍에미리트(UAE)간 투자협력 및 교류 확대를 위한 ‘제8차 한-아랍에미리트 경제공동위’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519
529 임대주택, 전통사찰 등의 종부세 부담 완화를 위한 종부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96
528 제6기 중장기전략위원회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82
527 문체부, ‘검정고무신 사건’ 특별조사 마무리 미배분 수익 배분, 불공정계약 변경 등 명령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54
526 웹툰 생태계 상생 환경 조성 위한 노력 지속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33
525 문체부, 게임위의 비위행위 엄단하고 총체적 관리부실 개혁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82
524 주요 20개국(G20), 9월 정상회의를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전환 등 주요의제에 대한 본격적인 정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