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카 오·폐수, 주유소에서 깨끗하게 처리하세요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0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03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사장 김장실), 에이치디현대오일뱅크(대표 주영민)와 함께 올해 연말까지 캠핑용 차량의 접근성이 우수한 전국 10여 개 주유소에 캠핑카 오·폐수 처리시설(덤프스테이션*)을 설치한다.
* 덤프스테이션(Dump-Station) : 캠핑 차량 이용 시 필요한 청수를 공급하고 오·폐수는 하수도관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지상에 설치하는 시설물


2020년 2월부터 일반 차량의 캠핑카 개조가 합법화되면서 캠핑용 차량이 급증*하고,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차량을 이용한 캠핑인 차박은 새로운 캠핑 문화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캠핑 차량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시설이 충분하지 못해 오·폐수 무단 방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 연도별 캠핑카 튜닝대수(국토부, 2022) : ’19년 2,195대 → ’20년 7,709대 → ’21년 10,361대


이렇듯 차박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문체부는 국정과제*인 차박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2022년에 우선 전국 주요 야영장에 캠핑카 오·폐수 처리시설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올해는 캠핑 이용객들의 오·폐수 처리 편의를 확대하기 위해 야영장뿐만 아니라 주요 길목의 주유소에 캠핑카 오·폐수 처리시설 설치를 추진한다.
* 국정과제 61 : 누구나 누리는 여행환경 조성 - 개인 취향 존중과 산업의 공존을 위한 관광 여건 조성(화장실·쓰레기 수거시설 등 인프라 구축 지원 등 차박 활성화)


캠핑카 오·폐수 처리시설을 설치할 구체적인 지점은 관광공사, 에이치디현대오일뱅크와 협의해 7월 중 최종적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설치지점은 전국 등록야영장 정보를 제공하는 관광공사의 고캠핑 누리집(Gocamping.or.kr)에서 공개할 계획이다.


전국 주요 교통요지에 캠핑카 오·폐수 처리시설이 설치되면 강이나 바다 등 자연에 무단으로 오·폐수를 방류하는 사례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문체부는 정책효과를 높이기 위해 앞으로도 전국 주요 교통요지에 캠핑카 오·폐수 처리시설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문체부 김상욱 관광산업정책관은 “이번에 에이치디현대오일뱅크 주유소에 캠핑카 오·폐수 처리시설을 설치하게 되어 친환경적인 차량 이용 캠핑 기반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오·폐수 처리시설 설치에만 그치지 않고, 캠핑 관광객들이 실제로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캠핑 누리집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라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 2023.06.2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7642&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26&endDate=2023-06-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15 농식품부, 2023년 상반기 농림식품 신기술(NET) 12건 신규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94
614 이정식 장관, 키르기스스탄 방문하여 고용노동 분야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및 E-9 교육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51
613 한국-우즈베키스탄, 고용허가제·직업훈련 등고용노동 협력 강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59
612 한-브라질,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양국 협력 다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92
611 피해지역 신속하고 충분한 지원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20
610 피해자의 생활 안정과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복원 최우선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19
609 호우피해 신속 복구, 재해예방에 적극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381
608 주한 아프리카대사단과 경제협력 관계 발전방향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23
607 (가칭) 이건희 기증관* 건립사업 예타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08
606 가용재원을 총동원하여 신속한 복구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01
605 추 부총리, 제3차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서 물가 안정을 위한 통화·재정정책의 공조 필요성 강…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37
604 전남 나주 수출기업 애로해소 지원을 위해 ‘원스톱 수출 119’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07
603 국제금융기구 수장들과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 참여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93
602 지속적인 소통을 토대로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청년정책 추진 약속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61
601 추 부총리,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74
600 녹색기후기금(GCF) 전략계획 채택, 38개국 대상 총 7.6억불 기후사업 지원 승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620
599 케이(K)-문화예술이 지방으로, 해외로 확산?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90
598 노인인구 증가 등에 대응하여 노인일자리 지원 및 돌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25
597 인력난 ‘6+4’ 업종별 맞춤형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67
596 부산 북항 일대 해저퇴적물 정화로 깨끗한 바닷속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