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소 인증제, 민관이 머리 맞댄다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4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03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의 핵심 수단 중 하나인 '청정수소'에 대한 인증기준·절차 등을 조속히 마련하기 위해 민관이 역량을 결집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의 청정수소 관련 투자도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6. 29일(목) 한전 전력연구원에서 40여 개 수소 관련 기업·공공기관이 참여하는 「청정수소 인증제 민관 포럼」을 개최하였다.


국내 청정수소 인증제는 지난 4월 ‘업계 설명회’ 개최 이후, 수소법 하위법령 입법예고가 완료되어, 현재 법령 심사가 진행 중이다. 또한, 청정수소 인증방법론과 혜택안(인센티브안)에 대한 별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토론회(포럼)는 정책의 이해당사자인 기업들의 주도적 참여와 민관 공동 논의를 통해 정책 수용성을 제고하고, 인증제 설계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려는 취지에서 마련되었다. 이를 통해 내년부터 시행될 청정수소발전입찰시장(CHPS) 등 연관 제도의 차질 없는 시행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토론회(포럼)에서는 ‘국내외 청정수소 인증제 동향 및 운영 방향 등’에 대해 국내외 전문기관들의 발제가 진행되었다. 아거스 미디어 등 해외 전문기관은 해외 유사 인증제 현황 및 국제(글로벌) 수소 가격 정보 등을 공유하였고, 수소융합얼라이언스(H2KOREA) 등 국내 전문기관은 현재 진행 중인 인증제 설계 방향 및 혜택안(인센티브안) 등을 소개하였다. 발제 이후 참여자들의 열띤 토론과 질의가 이어졌다.


이옥헌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정부는 국정과제(21번,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 및 세계 1등 수소산업육성’) 이행을 위해 수소 관련 기업, 공공기관, 전문가 등과 협의의 장을 지속 마련할 계획이며, 올해 하반기 중 수소법 하위법령 개정 완료, 청정수소 인증기관 지정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국제동향을 고려하면서도, 우리나라 여건에 부합하는 청정수소 인증제를 마련하는 데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6.2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7907&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26&endDate=2023-06-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497 하반기 수출반등은 노사협력에 달려 불합리한 노사관행은 단호히 거부되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37
496 2024년 재난안전예산, 예측·예방 중심 과학적 재난안전관리에 과감히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994
495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우수 재난안전제품 발굴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26
494 범부처 합동으로 탄소국경조정제도 이행법안 적극 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94
493 친환경선박, 국제표준부터 성적서까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47
492 민·관이 손잡고 안전제도 개선을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43
491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비율 49.4% 역대 최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19
490 주요 원자재 운송 분야 선화주 상생 촉진을 위한 우수 선화주기업 인증 대상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542
489 한미 배터리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80
488 한강수계법 등 2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51
487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와 일자리 전환의 현황 및 과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66
486 노동시장 약자 다수 고용 등 공헌한 사회적기업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67
485 과기정통부, 수소분야 연구성과 전시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511
484 2023년 2분기 신규화학물질 71종 유해성·위험성·건강장해 예방조치사항 공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94
48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중소기업 친환경(그린)·디지털 전환 정책, 수출시장 다변화 정책 소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49
482 공공기관 경영진 대상 최초 고객중심경영 컨설팅 교육을 통해 고객서비스 향상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97
481 건설근로자공제회, SH공사와 건설근로자 삶의 환경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75
480 장애인고용공단, 교촌에프앤비(주)와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22
479 박진 장관,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WEF) 회장과 글로벌 복합위기 극복 협력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527
478 수소 분야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출연연 어벤져스' 뭉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