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사업장 887곳 굴뚝 자동측정기기 2022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 공개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0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03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굴뚝 자동측정기기(TMS)가 부착된 전국 887곳 대형사업장의 2022년 연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클린시스템 누리집(Cleansys.or.kr)에 6월 30일 공개한다.


2022년 굴뚝 자동측정기기를 부착한 사업장은 전년대비 61곳(7.4%)이 증가했으며, 굴뚝 수 기준으로는 464개(18.4%)가 늘어났다. 이는 2020년 4월 3일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전국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굴뚝 자동측정기기의 부착 대상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 총량관리사업장의 배출구가 질소산화물·황산화물 및 먼지의 연간 발생량이 20톤 미만인 경우, 2022년 12월 31일까지 부착유예(연간 배출량이 질소산화물 3톤, 황산화물 3톤, 먼지 0.15톤 중 하나를 초과할 때 부착)


2022년 굴뚝 자동측정기기를 부착한 사업장의 굴뚝 1개당 오염물질 배출량은 72톤으로 전년 대비 5.3% 감소*했다. 이는 사업장의 방지시설 개선,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자발적 감축 등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됐다.
* 2020년 대비 △37.4%, 2019년 대비 △55.0% 감소


한편, 굴뚝 자동측정기기가 부착된 전국 887곳 대형사업장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 연간(2022년) 총배출량은 21만 5,205톤으로, 전년 대비 12.2%(2만 3,380톤) 증가했으며, 이는 측정 굴뚝수 확대 등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 (총배출량) 27만 7,695톤(19년) → 20만 5,091톤(20년) → 19만 1,825톤(21년) → 21만 5,205톤(22년)
(측정굴뚝수) 1,738개(19년) → 1,791개(20년) → 2,524개(21년) → 2,988개(22년)


업종별 배출량 순위는 발전업이 7만 1,247톤(3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제철·제강업 5만 4,242톤(25%), 시멘트제조업 5만 1,379톤(24%), 석유화학제품업 2만 3,396톤(11%)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TMS 부착사업장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톤)>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사업장 수

626

631

648

826

887

굴뚝 수

1,702

1,738

1,791

2,524

2,988

굴뚝당 배출량

194

160

115

76

72

오염

물질

배출량

(톤)

330,046

277,695

205,091

191,825

215,205

먼지

6,438

5,767

4,577

4,735

4,869

황산화물

98,110

74,200

51,706

47,202

60,188

질소산화물

222,183

194,795

145,935

137,092

147,509

염화수소

559

601

584

578

519

불화수소

1

1

2

1

1

암모니아

3

4

3

2

3

일산화탄소

2,752

2,327

2,284

2,215

2,116


박연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굴뚝 자동측정기기를 부착한 사업장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에게 더욱 투명하게 실시간 배출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이에 기반하여 수집된 정보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저감을 위한 합리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환경부, 2023.06.2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7798&pageIndex=7&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26&endDate=2023-06-3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31 제27차 비상경제차관회의 겸 일자리 전담반(TF) 제7차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512
530 한-아랍에미리트(UAE)간 투자협력 및 교류 확대를 위한 ‘제8차 한-아랍에미리트 경제공동위’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506
529 임대주택, 전통사찰 등의 종부세 부담 완화를 위한 종부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82
528 제6기 중장기전략위원회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72
527 문체부, ‘검정고무신 사건’ 특별조사 마무리 미배분 수익 배분, 불공정계약 변경 등 명령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40
526 웹툰 생태계 상생 환경 조성 위한 노력 지속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22
525 문체부, 게임위의 비위행위 엄단하고 총체적 관리부실 개혁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61
524 주요 20개국(G20), 9월 정상회의를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전환 등 주요의제에 대한 본격적인 정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22
523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계기 한-필리핀 외교장관회담(7.14.) 결과 비회원 2023-07-18 488
522 2025. 6. 26.부터 ‘선박재활용협약’ 발효 예정… 앞으로는 선박도 친환경적으로 해체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30
521 제53차 인권이사회에서 우리 정부가 주도한 ‘신기술과 인권’ 결의 채택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78
520 농업과 환경의 가치, 도시농업에서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18
519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피해자 1분의 유가족 대상 판결금 지급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45
518 박진 장관, IAEA 사무총장 접견 결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689
517 근로복지공단 이사장, 「본부 관리자」 대상 청렴리더십 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45
516 주요 20개국 협의체(G20) 정상선언문에 대한 협의 과정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87
515 종자원, ‘진로체험 교육’으로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영) 앞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59
514 ‘이동식 산업용 로봇’과 함께 일할 때 안전을 위해 반드시 이것은 지켜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2,203
513 건설근로자공제회, ‘2022년도 건설근로자 고용복지 사업연보’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99
512 자기규율 예방체계, ‘안전보건 선진국’에서 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