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이 손잡고 안전제도 개선을 추진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4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13

행정안전부는 7월 3일 14시에 「안전제도 개선과제 상시 발굴 추진단(단장: 차호준 예방안전정책관)」 정기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안전제도 개선과제 상시 발굴 추진단*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추진에 따라 상시적인 안전제도 개선체계 마련을 위해 지난 2월 발족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안전제도 개선과제를 발굴해 왔다.
* 행정안전부(7), 국립재난안전연구원(2), 민간전문가(12) 등 총 21명으로 구성


오늘 회의에서는 상반기 발굴한 안전제도 개선과제를 공유하고, 제도개선 방안과 하반기 추진 방향 등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다. 1분기 동안 발굴한 개선과제는 공사장 토사 매몰사고, 크레인 안전사고 등 총 8건*으로, 사고정보와 언론 분석 등을 토대로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 ①공사장 터파기 공사 토사 매몰사고, ②크레인 안전사고, ③사업장 일산화탄소 중독 안전사고, ④기계식 주차장 하중기준 미흡, ⑤사업장 끼임 안전사고, ⑥무인점포(사진관, 빨래방 등) 화재, ⑦아파트 단지 수영장 안전사고, ⑧골프 카트 안전사고


2분기 동안 발굴한 개선과제는 루지 체험장 안전사고, 숙박업소 무등록 어린이놀이시설 등 총 5건*으로, 한국소비자원과 신종재난 위험요소 발굴센터 등이 제시한 안전정보를 토대로 개선과제를 발굴하였다.
* ①루지 체험장 안전사고, ②숙박업소 내 무등록 어린이놀이시설, ③에어컨 실외기 화재, ④스포츠용품(라켓 손잡이 등) 유해물질 기준 미비, ⑤전봇대 통신선 유지관리 기준 미흡


아울러, 마련한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전문가 자문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관계부처와 법령 개정 협의 등 제도개선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하반기에는 인구 고령화, 시설 노후화 등 시대변화에 따른 종합적인 과제 발굴을 추진하고, 발굴·개선체계 전반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차호준 예방안전정책관은 “실효성 있는 안전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국민 일상 곳곳에 존재하는 위험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하며, “국민의 일상이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안전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2023.07.0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8341&pageIndex=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33,A00031,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0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17 근로복지공단 이사장, 「본부 관리자」 대상 청렴리더십 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42
516 주요 20개국 협의체(G20) 정상선언문에 대한 협의 과정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87
515 종자원, ‘진로체험 교육’으로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영) 앞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59
514 ‘이동식 산업용 로봇’과 함께 일할 때 안전을 위해 반드시 이것은 지켜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2,201
513 건설근로자공제회, ‘2022년도 건설근로자 고용복지 사업연보’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99
512 자기규율 예방체계, ‘안전보건 선진국’에서 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82
511 우리 모두가 “안전”을 함께 합니다 7월은 “산업안전보건의 달”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60
510 항만 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실증사업 공모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95
509 건설근로자공제회, 중대재해 예방에 함께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53
508 국제(글로벌) 공급망위기, 기업 책임경영으로 넘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641
507 소형 e-모빌리티 지역 기반 연계·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92
506 전기안전관리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전기재해는 줄이고, 안전성은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620
505 정부는 특정 에너지원에 편중되지 않도록 균형있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할 것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35
504 국내최초 차량용 액화수소 저장시스템 실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85
503 대한민국 가족행복의 든든한 버팀목, 아이돌봄서비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51
502 295만 여성기업 최대의 축제 ‘제2회 여성기업주간’ 개막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31
501 내실 있는 기술규제영향평가를 통한 기업부담 경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43
500 청정수소발전, 규제개선으로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68
499 신재생에너지, 강도 높은 혁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56
498 EU 과불화화합물 사용제한은 미확정, 통상채널 가동-수급 안정조치로 기업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