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수출반등은 노사협력에 달려 불합리한 노사관행은 단호히 거부되어야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4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13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7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6개 경제단체 부회장단과 긴급 간담회를 열고 총파업에 대한 산업계 입장과 노사현안에 대한 애로사항을 청취하였다.
* 참석자: (경제단체) 이동근 경총 부회장, 우태희 대한상의 부회장, 정만기 무역협회 부회장, 이호준 중견련 부회장, 배상근 전경련 전무, 이명로 중기중앙회 본부장, (산업부) 주영준 산업정책실장, 최우석 산업정책관, (고용부) 이창길 노사협력정책관


이 장관은 이날 “하반기 수출반등을 견인하려면 노사협력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하다”며, “최근 노동계 동향은 우리 국민과 기업의 절박한 위기의식과는 괴리되어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법상 절차를 준수하지 않고 파업에 동참한다면 명백한 불법파업이며, 경제계도 노조측의 부당한 요구, 노사 법치주의 위반에 대해 단호히 거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회 본회의에 부의된 노조법 개정안은 “불법파업을 조장하고 경영활동의 심대한 위축이 우려되므로 국회에서 신중한 검토를 부탁드린다”는 의견도 밝혔다.


이날 경제단체 부회장들도 “경제와 산업에 부담을 가중하는 명분없는 불법 정치파업은 중단되어야 하고, 불법행위 발생시 엄정한 대응으로 노사 법치주의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산업부는 경제계와 함께 우리 산업에 대한 총파업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생산과 수출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히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7.0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8573&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33,A00031,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0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23 국가생물다양성 전략, 함께 만들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5
822 민물가마우지, 유해야생동물 지정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20
821 순환경제사회 전환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7
820 싱가포르와 정지궤도 환경위성 공동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8
819 다회용기 안심하고 쓰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67
818 방역용 소독제 공기 소독 근절 및 안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9
817 홍수 등 물 재난 대응 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9
816 전기차 저온 1회충전 주행거리는 전기차 원동기실 안쪽 벽에서 확인 가능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6
815 여름철 국립공원 물놀이, “허용된 안전한 구역에서만 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8
814 2023년 주요 20개국(G20) 환경·기후장관 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3
813 파리협정 전지구적 이행점검을 위한 국제 학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46
812 산양 등 멸종위기 19종 동결보존 기술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4
811 녹색산업 창업가와 기업인 교류의 장… 새싹기업(스타트업) 동창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2
810 온실가스 분해 능력 뛰어난 미생물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7
809 배터리 산업 탄소경쟁력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60
808 전기화물차 보조금 예산안은 현재 논의 중인 단계로 보도내용은 사실과 다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3
807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전년보다 3.5% 감소한 6억 5,450만톤 예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3
806 비사업용 경·소형 화물차 배출가스 첫 정밀검사 시기, 차 출고 후 3년에서 4년부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5
805 민간투자 유치설명회 개최…700억 원 이상 투자유치 목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0
804 남해안 등 하구습지에서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 집단 서식지 60곳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