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e-모빌리티 지역 기반 연계·협력 강화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0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13

산업통상자원부가 소형 e-모빌리티(초소형전기차, 1톤 미만 전기 특장차, 전기 이륜차 등) 기업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예산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기반 효율화에 나섰다.


산업부는 소형 e-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여 '14년부터 2,752억 원(국비 1,579억 원)을 투입해 전국 3개소에 e-모빌리티 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올해에는 주요 사업들의 센터 구축 및 장비 도입이 완료되어 본격적인 기업지원이 시작될 전망이다.
* ①전남 e-모빌리티 연구센터('14~'23, 1,656억), ②강원 e-모빌리티 기업지원센터('20~'23, 673억), ③경북 배터리 교환사용 시스템(공유스테이션) 통합관제 허브센터('22~'26, 423억)


이에 산업부는 기업지원을 위한 연구기반센터 간 연계·협력을 강화키로 하고, 지역 기업 수요를 반영한 센터별 기능과 역할은 특화하되, △통합(원스톱) 서비스 지원, △기술개발·실증사업 연계, △데이터 공유, △상시협력체계 구축 등을 추진키로 하였다. 소형 e-모빌리티 분야 예산 집행 효율성과 수요자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도 많은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소형 e-모빌리티 지역 기반 연계·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식’도 진행되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경북테크노파크는 연계·협력을 강화하고, 기업지원 체계를 고도화해 나갈 것을 공동으로 선언하였다.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소형 e-모빌리티는 개인화되는 모빌리티 추세(트렌드)와 동남아 등의 전기 이륜차 등 잠재적 수요 등으로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하는 신산업”이라고 언급하고, “e-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 인력양성, 규제개선, 해외 진출, 공공 수요 창출 등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강조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07.0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9233&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33,A00031,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0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55 제51호 에이(A)-벤처스로 루츠랩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44
654 제51호 에이(A)-벤처스로 루츠랩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1,646
653 농어업 분야의 환경·사회·투명 경영, 탄소중립! 한국농수산대학교 발전재단이 앞장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11
652 농식품부,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로 기후위기 적극 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54
651 집중호우 끝나고 폭염 온다. 이성희 차관, 건설현장 폭염 예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96
650 부산항 신항 건설 현장과 낙동강하구 해양쓰레기 수거 현장을 찾아 집중호우 대응상황 직접 챙겨 비회원 2023-08-01 506
649 「기후위기 대응 수해방지 범정부 특별팀(TF)」 발족 및 1차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519
648 수소경제 국민 참여 캠페인, 제5회 수소에너지 바로알기 공모전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11
647 변화하는 관광·레저 시설, 미래 안전관리를 위한 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1 427
646 알고케어-롯데헬스케어, 대·중소기업 상생 위해 뜻 모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80
645 신재생E보급지원(건물지원)사업의 설비는 대부분 정상 가동중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07
644 산업시설, 보험제도 연계 등을 통해 민간 자율형 안전관리체계로 전환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48
643 유럽연합(EU) 신통상규제에 대한 우리 기업 대응 역량 강화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3
642 에너지신산업 수출 '30년 2배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6
641 여름철 집중호우 관련 광산안전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19
640 재사용전지 안전성검사기관을 모집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91
639 액화천연가스(LNG)·수소 등의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호주 투자 지원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3
638 정부는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해 희소금속 비축을 적극 확대하겠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60
637 인천경제자유구역 겐트대, 수질분야 국제표준 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19
636 인니, 전기차·배터리 핵심 동반자 국가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