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근로자공제회, ‘2022년도 건설근로자 고용복지 사업연보’ 발간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9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18

건설근로자공제회(이사장 김상인, 이하 ‘공제회’)는「2022년도 건설근로자 고용복지 사업연보를 발간했다. 매년 1회 발간되는 사업연보는 퇴직공제제도 및 자산운용 현황과 고용복지 등 주요 사업 성과와 관련 통계를 담고 있다.

 

2009년부터 실시한 고용노동부 위탁 기능향상훈련에는 2022년까지 총 88,365명이 참여하고 74,146명이 수료했다. 무료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서는 모바일 구직·구인환경을 고려하여 간편 구직신청기능을 고도화하고 근로복지공단 등과 정보를 연계하여 공공 일자리 플랫폼의 역할 제고를 위해 노력했다. 2020년 11월 시행된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가 2022년 7월부터 2단계로 확대됨에 따라 확대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전자카드의 대내외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전자카드 누적 발급매수는 915천 매이며, 2022년 한해에 529천 매 발급했다.

 

2022년도 말 기준 퇴직공제 가입 공사는 77,131개소로 전년 대비 1.6%(1,291개소) 감소했으나, 총 공사금액은 1.3%(28,010억 원) 증가했다. 신규 가입공사 중 공사금액에 퇴직공제부금을 미반영한 공사 비율이 전년 대비 1.7%p (1,339개소) 감소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누적)퇴직공제 적립 근로자는 5,407천 명이며, 이 중 2022년 적립 근로자는 1,631천 명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했다. 퇴직공제금 지급인원은 255천 명(44.7% 감소), 지급액은 4,760억 원(10.4% 감소)이고, 1인당 평균 지급액은 1,869천 원(62.0% 증가)로 나타났다. 지급인원(지급액)이 크게 감소한 것은 수급권 완화로 2021년에 지급인원(지급액)이 크게 늘어났다가 제도 안정화에 따라 청구건수가 줄어든 영향이다.

 

건설근로자 고용복지 사업연보는 모든 국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제회 홍보센터 자료실(cwma.bigzine.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붙임 2022년도 건설근로자 고용복지 사업연보 요약

?

 

(고용노동부, 2023.07.0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8574&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07-18&endDate=2023-07-18&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09 건설근로자공제회, 중대재해 예방에 함께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53
508 국제(글로벌) 공급망위기, 기업 책임경영으로 넘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641
507 소형 e-모빌리티 지역 기반 연계·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92
506 전기안전관리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전기재해는 줄이고, 안전성은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620
505 정부는 특정 에너지원에 편중되지 않도록 균형있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할 것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35
504 국내최초 차량용 액화수소 저장시스템 실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87
503 대한민국 가족행복의 든든한 버팀목, 아이돌봄서비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51
502 295만 여성기업 최대의 축제 ‘제2회 여성기업주간’ 개막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31
501 내실 있는 기술규제영향평가를 통한 기업부담 경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44
500 청정수소발전, 규제개선으로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68
499 신재생에너지, 강도 높은 혁신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56
498 EU 과불화화합물 사용제한은 미확정, 통상채널 가동-수급 안정조치로 기업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10
497 하반기 수출반등은 노사협력에 달려 불합리한 노사관행은 단호히 거부되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38
496 2024년 재난안전예산, 예측·예방 중심 과학적 재난안전관리에 과감히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1,005
495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우수 재난안전제품 발굴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29
494 범부처 합동으로 탄소국경조정제도 이행법안 적극 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95
493 친환경선박, 국제표준부터 성적서까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48
492 민·관이 손잡고 안전제도 개선을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444
491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비율 49.4% 역대 최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3 520
490 주요 원자재 운송 분야 선화주 상생 촉진을 위한 우수 선화주기업 인증 대상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04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