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게임위의 비위행위 엄단하고 총체적 관리부실 개혁한다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8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18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이하 문체부)는 감사원 감사결과(23.6.29) 통해 드러난 게임물관리위원회(위원장 김규철이하 게임위)의 구조적 위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고인사·조직 등 기관 운영 전반에 대한 강도 높은 구조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형사고발 및 징계 촉구, 손해배상청구소송 통한 손해액 국고환수 추진

 

  이번 감사원 감사를 통해 게임위가 ‘자체등급분류 게임물 통합관리시스템(이하 통합관리시스템)’ 및 ‘자체등급분류 게임물 블록체인 공동인증 개념검증 용역(이하 블록체인 검증용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과업완료 전 대금지급, 허위자료 작성 등 구조적인 비위행위를 저질렀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비위행위가 이루어지는 동안 게임위 내부통제는 전혀 작동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7억 원 이상의 국민 혈세가 낭비되었다.

 

  문체부는 감사과정에서 드러난 비위행위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을 획이다용역업체와 책임자에 대한 형사고발 및 신속한 징계 조치를 임위에 요청하고손해배상청구소송 등을 통해 손해액에 대한 국고환수에 나설 계획이다.

 

 조직기강 확립 및 내부통제 강화 위한 과감한 인적쇄신과 조직개편 추진

  

  문체부는 게임위 조직 전반에 퍼져있는 도덕적 해이를 해소하고, 조직 기강을 재확립하기 위해 과감한 인적 쇄신을 추진한다이에 문체부와 임위는 감사결과를 통해 부당한 업무처리가 확인된 사무국장을 즉시 직위해제하고정직 이상의 중징계를 추진할 계획이다아울러조직관리 책임이 있는 감사 및 본부장 전원을 교체하고내부 직위공모제 등을 통해 능력있는 직원들의 관리직 배치도 추진한다. 또한, 일반직원 대상 대규모 인사이동 등을 통해 조직 내 혁신 분위기를 조성한다.

 

 

  또한 조직개편을 통해 게임위의 내부통제 기능을 강화한다. 먼저, 사업추진 전반에 대한 계약·회계 업무를 검증·관리하기 위해 재무계약팀을 신설한다. 또한, 감사실 인력 확대 및 기능 강화를 통해 유사 위법행위에 대한 철저한 감시를 진행한다아울러현재 게임물관리본부 내 소속된 원법무팀을 독립된 민원교육센터로 개편하여 게임이용자들과의 소통 기능을 강화한다.

 

 위원 전문성 강화, 회의록 선제적 공개 등 과감한 행정혁신 추진

 

  문체부는 작년 11월 게임위가 발표한 「게임이용자 소통 강화방안」 및 혁신과제들에 대한 지속적인 이행점검을 실시해왔다특히 게임위 전문성에 대한 게임이용자들의 지적을 고려해, 지난 6월 신규 게임위 위원 선임 시, 게임 전문성을 최우선 순위로 두고 다양한 분야의 게임전문가를 위촉했다. 또한등급심의 과정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기존에는 정보공개 청구가 있는 경우에만 게임위 회의록을 공개하던 관행을 개선해, 선제적으로 회의록을 홈페이지에 공개하도록 조치했다다만여전히 게임위 혁신에 대한 국민들의 많은 목소리가 있음을 감안해전문성·투명성뿐만 아니라 사후모니터링 규제개선 등 다양한 정책적 대안들을 계속해서 검토해나갈 계획이다. 

 

  문체부는 게임위가 소중한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됨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으로서의 기본적인 책임감 및 개선의 노력이 부족했다고 지적하고감한 개혁을 통해 게임이용자들의 신뢰를 받는 조직으로 재도약해줄 것을 게임위에 주문했다. 아울러, 문체부는 게임위의 혁신과정 전반을 면밀히 들여다보고감사원 처분요구 사항 이행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

(문화체육관광부, 2023.07.0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9142&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9&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18&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43 유럽연합(EU) 신통상규제에 대한 우리 기업 대응 역량 강화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5
642 에너지신산업 수출 '30년 2배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8
641 여름철 집중호우 관련 광산안전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1
640 재사용전지 안전성검사기관을 모집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93
639 액화천연가스(LNG)·수소 등의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호주 투자 지원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6
638 정부는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해 희소금속 비축을 적극 확대하겠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62
637 인천경제자유구역 겐트대, 수질분야 국제표준 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22
636 인니, 전기차·배터리 핵심 동반자 국가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96
635 상반기 에너지캐시백(적립금) 성공 세대와 단지 늘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15
634 지능형도시(스마트시티) 안전을 위한 화이트해커들의 대회 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06
633 산단 내 대기오염물질 발생 감축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51
632 한국과의 전략적 온실가스 감축 협력 제안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71
631 친환경·에너지 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00
630 지게차, 굴착기도 수소충전소에서 충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73
629 기술개발로 악천후 조건에서의 교통사고를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09
628 저성장·기후변화 극복을 위한 「바이오 경제 2.0 추진 방향」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92
627 국내 최초로 해상교통량 예측 모델 개발해 해양 안전사고 막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512
626 디지털 기술로 발전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17
625 순환경제 아이디어 공모전에 참여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04
624 47개국 130여명의 청소년들이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이야기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