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사회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외국인 인력 유치방안 모색

담당부서 : 기획재정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8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19

방기선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3.7.7() 15:00 여의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금융전문대학원에서 외국인 인력 정책 전문가 간담회(23년도 제2차 미래전략토론회)를 개최하였다.

 

  * (정부기획재정부 1차관, 미래전략과장, 인구경제과장, 고용부 국제협력관,
법무부 출입국·이민관리체계개선추진단장

 

    (민간최슬기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이규용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류석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교수이명로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최서리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엄진영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김유휘 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알비올 안드레스 철도기관사

 

  오늘 간담회에서는 「외국인력·이민정책 필요성 및 예상 문제점?(최슬기 한국개발연구원 교수) 외국인력 유입촉진 및 정주여건 개선 방안(이규용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대한 발제에 이어, 학계·연구소·산업계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되었다.

 

  방 차관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로 인해 중장기적으로 동시장의 공급제약이 심화되고 경제 전반의 성장률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라 전망하면서“제조업·농축산업 등 산업현장의 인력난 해소해외 석박사급 우수 기술인재 유치 및 가사돌봄 분야 외국인 취업 확대를 위한 외국인 정책의 개선방안과 더불어외국인 정주여건 개선과 사회통합 방안을 모색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슬기 한국개발연구원(KDI) 교수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지속됨에 따라 국인 인력 유치 확대가 불가피해졌으며향후 외국인 인력 유입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확대 시기·방식 등에 대한 고민이 수반될 필요가 있음을 였다이규용 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민정책을 포함한 외국인 정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부처간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외국인 인력관리 지자체 역량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였다류석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교수는 우수인력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외국인력을 유치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오늘 논의내용은 중장기위원회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함께 마련 중인 국가미래전략 관계부처 공동으로 하반기 발표 예정인 외국인 정책 기본계획에도 반영 계획이다.

 

※ (별첨) 기획재정부 1차관 모두발언

?

(기획재정부, 2023.07.0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79497&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15 농식품부, 2023년 상반기 농림식품 신기술(NET) 12건 신규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97
614 이정식 장관, 키르기스스탄 방문하여 고용노동 분야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및 E-9 교육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70
613 한국-우즈베키스탄, 고용허가제·직업훈련 등고용노동 협력 강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64
612 한-브라질,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양국 협력 다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95
611 피해지역 신속하고 충분한 지원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24
610 피해자의 생활 안정과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시설 복원 최우선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23
609 호우피해 신속 복구, 재해예방에 적극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384
608 주한 아프리카대사단과 경제협력 관계 발전방향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27
607 (가칭) 이건희 기증관* 건립사업 예타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11
606 가용재원을 총동원하여 신속한 복구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04
605 추 부총리, 제3차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서 물가 안정을 위한 통화·재정정책의 공조 필요성 강…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39
604 전남 나주 수출기업 애로해소 지원을 위해 ‘원스톱 수출 119’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10
603 국제금융기구 수장들과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 참여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502
602 지속적인 소통을 토대로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청년정책 추진 약속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63
601 추 부총리,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76
600 녹색기후기금(GCF) 전략계획 채택, 38개국 대상 총 7.6억불 기후사업 지원 승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634
599 케이(K)-문화예술이 지방으로, 해외로 확산?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투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92
598 노인인구 증가 등에 대응하여 노인일자리 지원 및 돌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27
597 인력난 ‘6+4’ 업종별 맞춤형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72
596 부산 북항 일대 해저퇴적물 정화로 깨끗한 바닷속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5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