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및 상반기 기준 고용률(63.5%, 62.2%)은 역대 최고 실업률(2.7%, 3.0%)은 역대 최저 기록

담당부서 : 기획재정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2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19

6월 고용률은 63.5%실업률은 2.7%를 기록하며 6월 기준 역대 최고(’82.7월 이후)?최저(’99.6월 이후) 수준을 보였으며, 취업자수도 전년동월대비 33.3만명 증가하며 28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였다. 상반기 기준으로도 역대(66년 상반기 이후) 최고 고용률(62.2%) 및 역대(99.6월 이후최저 실업률(3.0%)을 기록하는 등 고용 호조세가 지속되고 있다.

 

    * 고용률(15세 이상, %): (22.6)62.9 … (23.1)60.3 (2)61.1 (3)62.2 (4)62.7 (5)63.5 (6)63.5 <23.1~6>62.2
실업률(15세 이상, %): (22.6)3.0 …  (23.1)3.6  (2)3.1  (3)2.9  (4)2.8   (5)2.7  (6)2.7 <23.1~6>3.0
취업자 증감(전년비만명): (22.6)84.1 … (23.1)41.1 (2)31.2 (3)46.9 (4)35.4 (5)35.1 (6)33.3 <23.1~6>37.2

 

  이는 돌봄수요 확대 및 일상회복 등에 따라 보건복지업 및 대면서비스업 등에서의 고용 증가 여성·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다만건설업과 제조업 취업자수는 전년대비 감소하며 취업자수 증가세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업종별 취업자 증감(전년비만명): [보건복지] (23.6)12.6 <23.1~6>17.3 [숙박음식] (23.6)11.6 <23.1~6>16.4
[제조업] (23.6)1.0 <23.1~6>4.3 [건설업] (22.6)6.2 <23.1~6>3.7

    * 60경활률 증감(전년비, %p): (22.6)1.4 … (23.1)0.6 (2)0.9 (3)1.9 (4)1.5 (5)1.0 (6)0.8 <23.1~6>1.1 
여성 경활률 증감(전년비, %p): (22.6)1.2 … (23.1)1.1 (2)1.0 (3)1.4 (4)1.1 (5)1.1 (6)1.1 <23.1~6>1.1

 

  청년층(15~29)의 경우 고용률(47.0%)과 실업률(6.3%) 6월 기준 역대 2수준이나, 기저효과(‘22.6월 +10.4만명) 및 인구감소(△17.2만명) 등에 따라 취업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11.7만명)하고 있다.

 

    * 청년 고용률(%): (23.1)46.1 … (6)47.0 <23.1~6>46.4 / 청년 실업률(%): (23.1)5.9 … (6)6.3 <23.1~6>6.4
청년 취업자 증감(전년비만명): (22.6)10.4 … (23.1)5.1 … (4)13.7 (5)9.9 (6)11.7 <23.1~6>10.3

 

  앞으로도 대면서비스업 등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률?실업률은 견조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제조업 및 건설업 고용 둔화 등으로 취업자수 증가폭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에도 고용 호조세가 더욱 공고화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TF)?을 중심으로 고용동향 지속 점검하는 한편?하반기 경제정책방향(7.4),2차 빈일자리 해소방안(7.12등을 통해 경제활력을 제고하고,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

(기획재정부, 2023.07.1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0042&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startDate=2023-07-01&endDate=2023-07-19&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25 시간제보육 통합반 2차 시범사업으로 서비스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00
724 소아암 환자가 거주지 인근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소아암 진료체계 구축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5
723 보건복지부, 필수의료 정상화 위한 마취통증 의료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17
722 집중호우 피해주민의 조기 일상회복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0
721 한중일 3국이 모여 인구문제 해결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07
720 지역완결 필수의료 전달체계 혁신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86
719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 현장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5
718 집중호우 피해 주민에 긴급복지 및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6
717 제1차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예방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0
716 2자녀 가구 영유아도 연령제한 없이 어린이집 이용 우선순위 부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51
715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노인 부부·조손 가구 등 대상자 기준 확대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79
714 보건복지 규제혁신에 박차를 가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70
713 장기요양기관 예비평가 시범사업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29
712 보건복지부, 전국 고립·은둔 청년의 삶을 들여다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7
711 2023년 4차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4
710 보건복지부, 집중호우 응급의료 대책 등 비상체계 대응 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4
709 보건복지부 비상대응본부장, 집중호우 대비 점검 위한 노인요양시설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15
708 보건복지부, 집중호우 피해 대비 위해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협조 요청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298
707 정부-지자체의 긴밀한 협력체계 강화로 진료공백 최소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05
706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수행 지역 2차 공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