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 향한 첫걸음, 신용회복과 취업을 동시에... 고용-금융서비스 연계 지원키로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5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25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한국자산관리공사(사장 권남주), 국민행복기금(이사장 이재연)은 7월 21일(금) ?고용·금융서비스 연계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취업지원이 필요한 금융 채무자에게 고용과 금융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여 자립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서로 협력하기로 하였다.


고용부 등 3개 기관은 ?취업행복+더하기 채무조정? 제도*를 마련하고, 청년·취약계층 금융 채무자 고용노동부 고용복지+센터 초기상담 및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취업 서비스 참여 시 신용회복을 위한 추가 채무감면 및 취업지원성공지원금 등 각종 금융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취업’을 희망하나 ‘채무’ 문제로 어려움에 직면한 청년 취약계층 채무자가 취업을 통한 신용회복 자립 기반 마련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고용노동부는 설명했다.


이성희 차관은 협약식에 참석해 “정부 약자 보호를 위해 현금복지가 아닌 서비스 복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고용·복지 연계의 협력체계 구축이 중요하다“이번 협약 금융 채무자에게 신용회복과 취업을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좌절을 딛고 재기할 수 있는 소중한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2023.07.2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1802&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07-25&endDate=2023-07-25&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35 지역특화 치매서비스를 추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71
734 발 보조기 급여화로 장애아동의 경제적 부담 낮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6
733 장?차관급 공무원, 취약계층 지원 솔선수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37
732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자문단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4
731 보건복지부 장관, 장애인 거주시설 폭우·폭염 대응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7
730 ‘집중호우 피해지역 노인일자리’ 현장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24
729 보건복지부 제2차관, 집중호우·폭염·화재 대비 요양병원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9
728 보건복지부, 폭우·폭염 대응 상황점검 위해 남대문 쪽방촌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6
727 자립준비청년 장학금 및 취업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8
726 위기임산부 지원을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79
725 시간제보육 통합반 2차 시범사업으로 서비스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9
724 소아암 환자가 거주지 인근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소아암 진료체계 구축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4
723 보건복지부, 필수의료 정상화 위한 마취통증 의료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16
722 집중호우 피해주민의 조기 일상회복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9
721 한중일 3국이 모여 인구문제 해결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06
720 지역완결 필수의료 전달체계 혁신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85
719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 현장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4
718 집중호우 피해 주민에 긴급복지 및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5
717 제1차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예방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39
716 2자녀 가구 영유아도 연령제한 없이 어린이집 이용 우선순위 부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