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과 기업 모두 좋아하는 청년일경험 161개 기업에 2,128명 참여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3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25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7월 24일부터 9월 27일까지 다양한 일경험 프로그램 정보를 한곳에 모아 청년들이 희망하는 일경험 정보를 쉽게 찾도록 ?미래내일 일경험? 2차 통합공고를 실시하여 청년 2,128명에게 일경험 기회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청년 일경험’은 정부와 경영계가 함께하는 대표적인 맞춤형 고용서비스로서, 지난 5월 2,109명 규모로 모집한 1차 공고 시 참여 기업과 청년들의 뜨거운 호응을 확인한 바 있다. 실례로 신세계까사, 자코모, 다우닝 등 선도기업이 참여해 제조, 디자인, 영업 등 핵심 직무경험하는 프로그램인 대한가구산업협동조합연합회가 운영하는 ‘청년 가구실무 일경험’을 통해 제조 직무 경험하고 있는 한 청년은 청년 목수로 일하고 싶었는데 전공과 달라 걱정했으나, 직접 해보니 적성에 맞는다는 것을 느꼈다”고 했으며, 영업 직무 경험하는 청년은 일반 사무직과는 다른 능력이 필요하다. 책으로 알 수 없는 원가분석, 가격 책정 등 현장의 유통과 판매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라 말했다.

 

참여기업도 좋은 반응이었다. 기업은 직무 적합 인재에 대한 구인난을 해소해 줄 수 있는 기회로 본다. 가구 기업 이승석목갤러리는 “우리 조직과 잘 맞는 실무형 인재를 탐색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특히 가구 제조 업무는 설계할 때의 계산 능력과 집중력, 현장에서의 끈기와 의지가 요구되는데, 직접 경험해보지 않고 도전하다가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 경험을 통해 작업해보면 우리 기업과 함께 성장해갈 수 있는 인재인지를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또 다른 참여기업인 신세계까사는 참여한 청년들이 우리 기업에서의 경험에 대해 주변 지인들과 온라인에 공유한다. 기업의 인지도가 제고되고 긍정적인 이미지가 쌓여 장기적으로 인재 채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번 2차 참여기업은 케이티, 쿠팡, 롯데정보통신, 웅진, 농심호텔 등 선도기업과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등 공공기관비롯해 총 161개소며, 경영?사무, 광고?마케팅, 정보기술(IT), 영업, 생산?제조 등 다양한 직무의 일경험을 포함하고 있다. 관심있는 청년은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 누리집(www.work.go.kr/experi)’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 확인과 참여 신청이 가능하다.

 

붙임1.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 개요
2. 일경험 프로그램 주요 사례



(고용노동부, 2023.07.2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1910&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07-25&endDate=2023-07-25&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529 임대주택, 전통사찰 등의 종부세 부담 완화를 위한 종부세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96
528 제6기 중장기전략위원회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82
527 문체부, ‘검정고무신 사건’ 특별조사 마무리 미배분 수익 배분, 불공정계약 변경 등 명령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9 454
526 웹툰 생태계 상생 환경 조성 위한 노력 지속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33
525 문체부, 게임위의 비위행위 엄단하고 총체적 관리부실 개혁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84
524 주요 20개국(G20), 9월 정상회의를 앞두고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전환 등 주요의제에 대한 본격적인 정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35
523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계기 한-필리핀 외교장관회담(7.14.) 결과 비회원 2023-07-18 499
522 2025. 6. 26.부터 ‘선박재활용협약’ 발효 예정… 앞으로는 선박도 친환경적으로 해체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41
521 제53차 인권이사회에서 우리 정부가 주도한 ‘신기술과 인권’ 결의 채택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95
520 농업과 환경의 가치, 도시농업에서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33
519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피해자 1분의 유가족 대상 판결금 지급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56
518 박진 장관, IAEA 사무총장 접견 결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701
517 근로복지공단 이사장, 「본부 관리자」 대상 청렴리더십 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56
516 주요 20개국 협의체(G20) 정상선언문에 대한 협의 과정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98
515 종자원, ‘진로체험 교육’으로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영) 앞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70
514 ‘이동식 산업용 로봇’과 함께 일할 때 안전을 위해 반드시 이것은 지켜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2,233
513 건설근로자공제회, ‘2022년도 건설근로자 고용복지 사업연보’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10
512 자기규율 예방체계, ‘안전보건 선진국’에서 답을 찾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494
511 우리 모두가 “안전”을 함께 합니다 7월은 “산업안전보건의 달”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72
510 항만 내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실증사업 공모 한국생산성본부 2023-07-18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