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 부총리, 제3차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서 물가 안정을 위한 통화·재정정책의 공조 필요성 강조

담당부서 : 기획재정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3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25

추 부총리는 7.17(월)~18(화)인도 간디나가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이하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하였다.

 

   * 세계경제와 보건(세션①)지속가능금융와 인프라(세션②), 국제금융체제(세션③), 국제조세(세션④), 금융규제(세션⑤) 등 5개 세션 7개 의제를 논의

 

  세계경제 세션에서 국제통화기금(IMF) 및 대다수 회원국들이 물가안정 세계 경제의 최우선 과제라는데 공감대를 형성한 가운데추 부총리는 고물가 대응을 위해 통화정책과 함께 재정정책도 보조를 맞춰야 함을 강조하면서 한국의 재정지출 증가 최소화 노력과 할당관세 등 대외 물가상승 압력의 국내 전이를 최소화하려는 정책이 물가안정에 기여하였음을 설명하였다.

 

   * 수입가격이 급등한 물품의 국내가격 안정을 위해 일정한 수량에 한해 인하된 관세율 적용

 

  또한, 지속가능금융 세션에서 추 부총리는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는 녹색기후기금*(GCF)의 2차 재원보충에 회원국들의 참여를 촉구하였다.

 

   * Green Climate Fund: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지원을 위한 국제기구(송도에 사무국 위치), GCF 2차 재원보충(24~27절차 개시(22.7), 23.10월 공여전략 확정?발표 목표

 

  국제금융체제 세션에서 추 부총리는 선도발언을 통해 금년도 논의성과와 향후 과제를 설명하고취약국 부채문제 신속한 해결과 다자개발은행의 대출여력 확대를 위한 자본적정성체계(CAF) 이행을 지속 점검해나갈 것을 주문하였다아울러 국제조세 세션에서는 최근 디지털세 논의 진전을 환영하고 원활한 디지털세 도입·이행을 당부하였다.

 

  금번 회의는 G20 정상회의(9.9~10, 뉴델리)를 앞두고 그간의 G20 재무분야 논의결과와 각국 입장을 정리하는 성격이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문안 및 세계경제 불안 원인에 관한 회원국간 입장차로 합의문 도출 불발되었다정부는 정상회의까지 의장국·회원국들과 협력하면서 우리 이익 정상선언문 등에 반영되도록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 2023.07.1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1328&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startDate=2023-07-12&endDate=2023-07-25&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735 지역특화 치매서비스를 추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71
734 발 보조기 급여화로 장애아동의 경제적 부담 낮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6
733 장?차관급 공무원, 취약계층 지원 솔선수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37
732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자문단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4
731 보건복지부 장관, 장애인 거주시설 폭우·폭염 대응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7
730 ‘집중호우 피해지역 노인일자리’ 현장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24
729 보건복지부 제2차관, 집중호우·폭염·화재 대비 요양병원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59
728 보건복지부, 폭우·폭염 대응 상황점검 위해 남대문 쪽방촌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5
727 자립준비청년 장학금 및 취업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8
726 위기임산부 지원을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79
725 시간제보육 통합반 2차 시범사업으로 서비스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9
724 소아암 환자가 거주지 인근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소아암 진료체계 구축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3
723 보건복지부, 필수의료 정상화 위한 마취통증 의료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16
722 집중호우 피해주민의 조기 일상회복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49
721 한중일 3국이 모여 인구문제 해결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06
720 지역완결 필수의료 전달체계 혁신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85
719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 현장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64
718 집중호우 피해 주민에 긴급복지 및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95
717 제1차 사회적 고립 및 고독사 예방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339
716 2자녀 가구 영유아도 연령제한 없이 어린이집 이용 우선순위 부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2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