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출산의료비 바우처 확대 등 난임.다둥이 가정의 임신.출산.양육부담 획기적 개선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9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28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727난임?다둥이 맞춤형 지원대책발표하였다. 지난 5월 난임?다둥이 부모 등과의 간담회 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마련한 정책 대안저출산?고령사회 운영위원회를 통해 확정하였다.

 

해당 대책은 늦은 결혼으로 인해 난임 인구가 늘어나고, 난임시술로 인해 다둥이(쌍둥이 이상) 출산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임신?출산을 희망하는 부부 대해, 임신.출산 전 과정에 대한 지원대책포함하고 있다.

 

먼저 임신?출산 의료비 바우처 지원을 늘린다. 현재는 태아 한 명을 임신한 경우 100만 원, 다둥이를 임신한 경우 일괄 140만 원을 지급하고 있었으나, 다둥이 임신의 경우 의료비 지출이 늘어나는 현실을 반영하여 태아 당 100만 원씩으로 바우처 지원액확대한다.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신청할 수 있는 기간기존 ‘임신 9개월 이후’에서 ‘8개월 이후’로 늘어날 수 있도록「근로기준법」개정을 추진한다. 또한, 출산 시 배우자가 충분히 출산 후 회복을 지원할 수 있도록 다둥이 출산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기존 10일에서 15확대하기로 하였다.

 

다둥이 출산 가정에 대한 산후조리 도우미 지원인력지원기간을 늘린다. 기존에는 최대 2명의 도우미 최대 25일 지원하였으나, 2024년부터는 신생아 수 맞춰 도우미를 지원하지원 기간최대 40일로 확대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을 개정한다.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이번 대책을 시작으로 저출산을 완화하기 위해 임신?출산을 희망하는 부부들에게 체감도 높은 정책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2023.07.2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2746&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07-28&endDate=2023-07-28&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632 한국과의 전략적 온실가스 감축 협력 제안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61
631 친환경·에너지 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80
630 지게차, 굴착기도 수소충전소에서 충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60
629 기술개발로 악천후 조건에서의 교통사고를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00
628 저성장·기후변화 극복을 위한 「바이오 경제 2.0 추진 방향」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59
627 국내 최초로 해상교통량 예측 모델 개발해 해양 안전사고 막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80
626 디지털 기술로 발전소 안전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95
625 순환경제 아이디어 공모전에 참여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94
624 47개국 130여명의 청소년들이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이야기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72
623 태국 전기차 시장 참여 확대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362
622 자동차업계, 과불화화합물 사용 제한 관련 공동의견 유럽화학물질청에 제출 한국생산성본부 2023-07-31 438
621 이정식 장관 집중호우 피해 공장 방문,복구작업 시 철저한 안전조치 당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79
620 임신.출산의료비 바우처 확대 등 난임.다둥이 가정의 임신.출산.양육부담 획기적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90
619 장애인고용공단, 법무법인(유)광장과 ‘장애인 고용 증진’ 협약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41
618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 전문연수 기반시설로 대학 산학협력 전담인력의 전문성을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39
617 꿈을 향한 어울림, 복권기금 꿈사다리 축제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34
616 산업안전보건본부장, 소규모 사업장 찾아 폭우·폭염 안전관리 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03
615 농식품부, 2023년 상반기 농림식품 신기술(NET) 12건 신규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86
614 이정식 장관, 키르기스스탄 방문하여 고용노동 분야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및 E-9 교육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43
613 한국-우즈베키스탄, 고용허가제·직업훈련 등고용노동 협력 강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7-28 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