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 수해방지 범정부 특별팀(TF)」 발족 및 1차 회의 개최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52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1

정부는 이번 집중호우에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을 계기로 현재의 재난관리체계가 기후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재난대응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후위기 대응 수해방지 범정부 특별팀(TF)」(이하 “특별팀”)을 7월 31일 발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팀(TF)은 재난관리 체계와 대응 방식이 근본적으로 변해야 한다는 대통령 지시의 후속 조치로서 재난안전 총괄부처인 행안부를 중심으로 국토부, 환경부, 농식품부, 산림청, 경찰청, 소방청, 기상청 등 11개 주요 기관과 17개 시·도가 참여한다. 특히 이번 특별팀의 단장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직접 맡아 지휘하기로 함에 따라 주요 현안에 대한 근원적인 대책 마련과 제도 개혁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별팀에서는 앞으로 극한호우가 더욱 빈번히 발생할 것을 고려하여 설계기준, 위험지역 지정, 사전 통제, 주민 대피 등과 관련된 피해 예방 차원의 기준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정부에서 마련한 재난 관련 정책들이 현장에서 작동하지 못한 이유를 중점적으로 검토하게 된다. 특별팀에서는 주요 과제로 ▲현장 중심의 지자체 상황관리체계 개선, ▲지하차도 침수대비 안전대책 마련, ▲홍수통제 관리 강화, ▲급경사지·비탈면 등 위험 사각지대 해소, ▲디지털 재난관리 등을 다루며 분야별로 민간 전문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정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특히,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재난상황 시 초기 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1차 대응기관(지자체-소방 등) 간의 소통·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민원, 신고 등을 통해 접수되는 재난상황을 즉각 조치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홍수·산사태 예·경보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만큼, 소하천, 산사태 위험지역 외의 비탈면까지 디지털 기반 재난관리시스템 도입을 확대하고, 이를 신속하게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더이상 이상기후를 현실과는 다른 특별한 사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의 새로운 기후환경으로 인식하고 기존보다 훨씬 강화된 재난관리 체계로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하다”라며, “정부는 이상기후에 대비하여 재난관리 체계를 사전 예방 중심으로 전면 개선하고, 관계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현장에서 대응원칙이 제대로 작동하는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2023.07.3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3264&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33,A00031,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3-07-29&endDate=2023-07-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25 환경부 소속·산하 직원 400여 명, 수해지역 자원봉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22
824 녹색산업 협의체(얼라이언스) 참여기업 확대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3
823 국가생물다양성 전략, 함께 만들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1
822 민물가마우지, 유해야생동물 지정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8
821 순환경제사회 전환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5
820 싱가포르와 정지궤도 환경위성 공동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6
819 다회용기 안심하고 쓰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57
818 방역용 소독제 공기 소독 근절 및 안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7
817 홍수 등 물 재난 대응 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7
816 전기차 저온 1회충전 주행거리는 전기차 원동기실 안쪽 벽에서 확인 가능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4
815 여름철 국립공원 물놀이, “허용된 안전한 구역에서만 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6
814 2023년 주요 20개국(G20) 환경·기후장관 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0
813 파리협정 전지구적 이행점검을 위한 국제 학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42
812 산양 등 멸종위기 19종 동결보존 기술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2
811 녹색산업 창업가와 기업인 교류의 장… 새싹기업(스타트업) 동창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0
810 온실가스 분해 능력 뛰어난 미생물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5
809 배터리 산업 탄소경쟁력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58
808 전기화물차 보조금 예산안은 현재 논의 중인 단계로 보도내용은 사실과 다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1
807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전년보다 3.5% 감소한 6억 5,450만톤 예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21
806 비사업용 경·소형 화물차 배출가스 첫 정밀검사 시기, 차 출고 후 3년에서 4년부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