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항 건설 현장과 낙동강하구 해양쓰레기 수거 현장을 찾아 집중호우 대응상황 직접 챙겨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비회원
  • 0
  • 50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01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7월 28일(금) 부산지역을 방문하여 부산항 신항 남컨테이너 진입도로 건설상황과 일주도로 복구현황을 점검하고 낙동강하구 무인도서 지역 해양쓰레기 수거 현장을 살폈다.

 

먼저, 조 장관은 부산항 신항 남컨테이너 진입도로 건설현장과 주도로 피해복구 현장을 방문하여 집중호우 대응상황과 피해복구 대책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현장 관계자를 격려하였다.

 

조 장관은 건설현장 관계자들에게 “풍수해 등으로 인한 건설현장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현장 관리?감독을 부탁드린다”라고 강조하고, “이번 집중호우로 발생 된 시설피해를 조속히 복구하여 주민 통행 불편 해소에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다음으로, 조 장관은 낙동강하구 무인 도서를 찾아 집중호우로 인해 유입된 재해 쓰레기 수거 현장을 점검했다.

 

이번 집중호우로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 등 주요 강의 상류 지역에서 발생한 재해 쓰레기가 강을 타고 바다로 유입됨에 따라 전국적으로 약 11천여 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쓰레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바다경지킴이, 강하구쓰레기 수거 사업 등을 통해 지자체를 지원하고 있으며, 필요한 별도로 편성된 피해복구비*를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국가가 관할하는 해역에 대해서는 22척의 청항선**을 운영하여 만 등 국가시설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 해양쓰레기 피해복구비(국비 15억, 보조율 50%), 재난지역 선포 시 별도 산정액(보조율 100%)

** 항만을 청소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선박

   ?

조 장관은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현장에서 최근 집중호우로 낙동강을 포함하여 금강, 영산강 등 하구 지역에 초목류 등의 쓰레기가 많이 발생였다”라며, “해양으로 유입된 쓰레기가 신속히 수거될 수 있도록 피해 자체를 지원하고, 하천 쓰레기의 해양유입을 저감 하는 방안을 천관리 기관들과 함께 협의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 2023.07.28)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82939&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08-01&endDate=2023-08-0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825 환경부 소속·산하 직원 400여 명, 수해지역 자원봉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22
824 녹색산업 협의체(얼라이언스) 참여기업 확대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3
823 국가생물다양성 전략, 함께 만들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0
822 민물가마우지, 유해야생동물 지정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8
821 순환경제사회 전환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5
820 싱가포르와 정지궤도 환경위성 공동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6
819 다회용기 안심하고 쓰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57
818 방역용 소독제 공기 소독 근절 및 안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77
817 홍수 등 물 재난 대응 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7
816 전기차 저온 1회충전 주행거리는 전기차 원동기실 안쪽 벽에서 확인 가능함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4
815 여름철 국립공원 물놀이, “허용된 안전한 구역에서만 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6
814 2023년 주요 20개국(G20) 환경·기후장관 회의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30
813 파리협정 전지구적 이행점검을 위한 국제 학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42
812 산양 등 멸종위기 19종 동결보존 기술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2
811 녹색산업 창업가와 기업인 교류의 장… 새싹기업(스타트업) 동창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80
810 온실가스 분해 능력 뛰어난 미생물 발견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05
809 배터리 산업 탄소경쟁력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58
808 전기화물차 보조금 예산안은 현재 논의 중인 단계로 보도내용은 사실과 다름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11
807 2022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전년보다 3.5% 감소한 6억 5,450만톤 예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421
806 비사업용 경·소형 화물차 배출가스 첫 정밀검사 시기, 차 출고 후 3년에서 4년부터 한국생산성본부 2023-08-04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