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생산인력 교육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에 기여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4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01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코로나19 세계적 유행으로 드러난 백신 불평등 해소를 위해 아시아개발은행(ADB)과 함께 아시아?태평양 지역 백신 생산역량 강화를 위한 실습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한국은 작년 2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지정받아 연간 1,500명 이상을 목표로 전 세계 중?저소득국 바이오 인력에 대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 중 아?태지역 백신 생산인력에 대한 교육은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예산으로 운영되며, 2년 차인 올해의 과정은 10월 10일부터 5주간 7개국 36 대상으로 인천 송도(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진행된다.

 

 보건복지부는 앞으로도 세계보건기구(WHO), 아시아개발은행(ADB)은 물론, 미주개발은행(IDB),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등과 협력하여 인력양성 허브로서 전 세계의 필수 바이오 인력을 책임지고 양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세본>

 

< 아시아?태평양 지역 백신 생산공정 실습교육 개요 >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코로나19 세계적 유행으로 드러난 전 세계 백신 불평등 해소를 위해 아시아개발은행(ADB)과 협력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 백신 생산역량 강화를 위한 백신 생산공정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선?후진국 간 백신 접근성 격차를 줄이고 미래 감염병 유행에 대응할 역량을 키우기 위해 한국은 작년 2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지정받아연간 1,500명 이상을 목표로 전 세계 중?저소득국 바이오 인력에 대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 이번 교육은 한국 정부와 아시아개발은행이 백신 생산 기반(인프라)과 숙련 인력이 부족한 아?태지역에 백신 생산?보급 확대를 위한 협력의향(LOI) 체결(21.10이후 실시하는 2년 차 교육으로교육비?체류비 등 비용은 아시아개발은행이 부담한다.

 

 ○ 교육생은 방글라데시?인도네시아?베트남 등 아?태지역 7개국 36명이며, 천 송도의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10월 10일부터 5주간 한국형 나이버트 사업단(K-NIBRT)주관으로 진행된다.

 

   * 한국형 나이버트 사업단(K-NIBRT, Korea-National Institute for Bioprocessing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 국제적 기준의 의약품 제조 품질관리 기준(GMP)을 갖춘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고 바이오 생산공정 인력양성을 담당하는 교육기관

 

<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내용 >

 

□ 아?태지역은 중?저소득 국가들의 비율이 높고(약 70%) 백신 구매? 접종 등 감염병 대응 역량이 비교적 낮아, 자국 내에서 직접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 구축이 시급하다.

 

   * (백신 접종률, ‘23. 9월 기준, UNDP) 선진국 72.88%, 저개발국 35.6%

 

 

 

 ○ 이번 교육은 이러한 아?태지역의 역내 특성을 고려하여 백신 생산에 숙련된 인력양성을 위해 실습 위주의 단기 집중과정으로 진행된다.

 

□ 올해 교육은 생물의약품의 기초와 생물공정 원리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등 주요 백신 생산공정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코로나19 세계적 유행 상황에서 효과를 평가받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반의 백신 생산공정을 주요 실습 과정으로 다룬다.

 

□ 참가자들은 백신 관련 기업체연구소공공기관 등 재직자들로서 교육 이수 후 백신 생산관련 기반 구축공공보건 정책 수립 등 감염병 대응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ADB 백신 생산공정 교육 (10.10∼11.10) 참여자 현황】

 

방글라데시(11), 베트남(4), 우즈베키스탄(4), 인도네시아(4), 카자흐스탄(4), 태국(5), 파키스탄(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아태지역 교육생(지도)_36명.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88pixel, 세로 745pixel

 

<기대효과 및 향후계획>

 

□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는 작년에도 아시아개발은행과 협력을 통해 아?태지역 13개국 59명을 대상으로 교육하였으며참여자들의 만족도가 4.5점(5점 만점)으로 높았다.

 

 

 ○ 실제로방글라데시 제약기업 공장소속 한 교육생은 “백신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장비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직접적인 실습이 역향상에 꼭 필요하다”라면서“특히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업 방문 견학은 자국에서 실무에 임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만족하였다.

 

 ○ 또한베트남 제약기업 의약품 생산관리 담당 교육생은 “교수진의 열정적인 강의와 수준 높은 교육 덕분에 폭넓은 지식을 배울 수 있어 유익했다”라며 감사를 표했다.

 

□ 이번 교육을 통해 아?태지역의 바이오 인력양성이라는 직접적 효과 외에도 국내기업의 인지도 향상바이오의약품 시장 진출 및 백신 연구개발 등과 관련된 간접적 효과도 기대된다.

 

 ○ 황승현 보건복지부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장은 “한국은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국가로서 아?태지역 백신 생산역량 강화를 위해 아시아개은행과 긴밀히 협력하여 작년부터 성공적으로 교육을 운영해오고 있다”라며 바이오 분야에서의 한국의 글로벌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것”임을 강조했.

 

□ 보건복지부는 앞으로도 세계보건기구(WHO), 아시아개발은행(ADB)은 물론, 미주개발은행(IDB),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등과 협력하여 인력양성 허브로서 전 세계의 필수 바이오 인력을 책임지고 양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23.10.1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3691&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0-08&endDate=2023-10-14&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75 전시동물 복지 강화하면서 관련 사업 소상공인 부담 줄이는 방안 추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3
1674 민·관합동 교육과 컨설팅을 통해 대형화재 예방과 대응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9
1673 ‘살만하고 올 만한’ 지역 만들기로 지방시대 연다 비회원 2023-11-27 205
1672 에너지 공기업, 69개 기업에 “기술 드려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8
1671 고부가·친환경 섬유산업으로 국제표준화 선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8
1670 모두가 즐기는 2024년도 열린관광지 30개소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1
1669 케이(K)-중소기업 50+, 지역중소기업이 앞장선다! ?제1회 지역혁신대전?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3
1668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중부권 첫 번째 장애친화 산부인과 개소(11.8.)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3
1667 보건복지부 장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汎 병원계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8
1666 환경기술 보급촉진을 위한 교류의 장 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8
1665 국가물관리위원회, 극한 홍수 대응 위한 답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4
1664 환경산업기술원, 미주개발은행과 중남미 녹색시장 재도약 준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63 (참고자료)정부, 겨울철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대책 선제적으로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
1662 (참고자료)정부, 겨울철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대책 선제적으로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8
1661 필수의료 위기 극복을 위해 소비자와 환자 관점의 논의 중요성 공감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7
1660 무공해차 이제 그린카드로 충전하고, 탄소중립 실천 혜택도 받아가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0
1659 민간투자 8개사와 녹색산업 투자 가속화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0
1658 ‘슬기로운 동네생활’ 프로젝트로 지역경제 활력 업up!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9
1657 일회용품, 소상공인 부담 해소하며 국민의 자발적 참여로 감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7
1656 자동차 배출가스 누리집에서 내 차 환경분석 정보 쉽게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