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이 모여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논의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3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01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이하 문체부)는 10월 16(), 문체부 부세종청사 회의실에서 장미란 제2차관 주재로 민관이 함께하는 첫 번째 지역관광 활성화 협의 회의를 개최한다이번 회의에서는 대전세종충북, 충남 권역을 아우르는 충청권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다.

 

  2022년 기준 외국인 여행객의 한국여행 방문 지역은 서울이 82.4%(복응답)로 다른 지역 방문율 대비 4배 이상 차이가 나는 등 관광 활성화의 지역 간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다소비 증진과 일자리 창출외래객 유치를 통한 수출 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관광산업은 지역소멸 등 지역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

 

  이에 문체부는 한국관광에 다양성을 더하고 우리나라가 관광대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제2차관 주재로 권역별 지역관광 활성화 협의 회의를 개최한다. 회의는 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관광자원과 기반시설 등이 각기 다른 점을 고려해 권역별로 나누어 개최하고, 해당 권역의 지자체와 지방관광 조직, 업계가 모여 논의살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번 첫 번째 회의에서는 한국관광공사 세종충북지사와 정책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자체, 지역관광조직, 지역 기반 여행사 및 항공사 관계자가 참여한 가운데 청주국제공항을 중심으로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지역관광을 다룬다. 충청권 지역관광 활성화와 지역관광 수출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하고 정책 건의 및 애로사항을 청취할 계획이다.

 

 

  장미란 차관은 “지역의 대표 관광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을 가장 잘 아는 지역 관광조직이 힘을 합치고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문체부는 한국관광이 더욱 다채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 특색을 담은 관광콘텐츠 발굴을 활성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향후 지역별로 관광조직과 민간 관광업계 관계자들을 초청해 권역별 지역관광 협의 회의를 추가로 개최하며 해당 지역에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발전적 방향을 도출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 2023.10.1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4430&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0-15&endDate=2023-10-2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55 환경기술개발 미래전략 논의를 위한 첫걸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1
1654 복지부 제1차관, 약자 복지강화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9
1653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보건의료수요자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2
1652 정부-지자체-민간이 함께 ‘탄소중립도시’ 최적지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1
1651 소방안전교부세, 과학기술 활용한 신종재난 예측 등 재난안전 투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9
1650 실내환경관리센터 최초로 문 연다… 관리 및 정책 지원 전문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5
1649 현 정부, 첫 번째 새만금 관광개발 1,443억 민간투자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3
1648 2024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 자치단체별 차등배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3
1647 공공데이터 기반 사회현안 해결 아이디어 발굴 「오픈데이터포럼 해커톤」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8
1646 시민참여 전국자연환경조사 화보집 배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2
1645 3국 환경장관, 황사개선 협력 등 공동합의문 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3
1644 보건복지부 제1차관, 동절기 대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및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5
1643 가을 숲에서 진행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2
1642 환경부 장관 “소상공인도 활짝 웃는 일회용품 정책 모색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0
1641 한국형 환경정책을 바탕으로 녹색산업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40 환경·사회·투명 경영(ESG)는 경제의 `덫`아닌 성장의 `발판` 인식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5
1639 2023년 장애인 건강보건 통합성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38 3국 환경장관, 동북아지역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
1637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유공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8
1636 규제혁신으로 지방의 미래를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