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자-교사 간 발생하는 보육활동 침해 상황, 이렇게 대응하세요!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2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01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육진흥원(원장 나성웅)은 10월 16일(월) 어린이집 현장에서 발생하는 보육활동 침해행위로부터 보육교사의 보육활동을 보호하기 위해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보호를 위한 대응 가이드」를 제작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육진흥원 누리집을 통해 배포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응 가이드는 지난 8월 발표된「교권회복 및 보호 강화 종합방안」  보육교사의 보육활동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이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되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육진흥원은 지난 4월 보육교사가 현장에서 경험하는 노동권 침해직장 내 괴롭힘 등에 대한 상황별 법령정보 대처방안을 담은 보육교사 권리보호 핸드북」을 제작하여 배포한 바 있다이후 추가적으로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내용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이를 반영했다.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보호를 위한 대응 가이드」는 어린이집에서 원아의 보호자 교사 간 소통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육활동 침해 행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유형별 사례 및 법령정보, 상호작용 예시를 비롯한 대응 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 보육활동 침해 행위: 폭행?상해, 협박, 명예훼손·모욕, 불법정보유통, 업무방해, 보육활동 부당 간섭 행위, 보육활동 중 무단 촬영·녹음·배포 행위

 

 

 

 또대응 로드맵 제시하고보육활동 침해 상황이 발생했을 때 보육현장에서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대응 절차와 관련 제도를 안내하였다.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보호를 위한 대응 가이드」는 보건복지부 누리집(www.mohw.go.kr-정보-발간자료)한국보육진흥원 누리집(www.kcpi.or.kr-알림마당-발간물-기타발간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 김현숙 보육정책관은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보호를 위한 대응 가이드」가 어린이집 현장에서 보육활동 침해로 어려움을 겪는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보건복지부에서는 보육교사의 정당한 보육활동 보호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보육진흥원 나성웅 원장은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보호를 위한 대응 가이드」를 통해 보육교사가 보호자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고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이를 통해 영유아에게 최선의 보육환경이 제공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별첨>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보호를 위한 대응 가이드」


(보건복지부, 2023.10.1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4535&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14,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0-15&endDate=2023-10-2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55 환경기술개발 미래전략 논의를 위한 첫걸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1
1654 복지부 제1차관, 약자 복지강화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9
1653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보건의료수요자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2
1652 정부-지자체-민간이 함께 ‘탄소중립도시’ 최적지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1
1651 소방안전교부세, 과학기술 활용한 신종재난 예측 등 재난안전 투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9
1650 실내환경관리센터 최초로 문 연다… 관리 및 정책 지원 전문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5
1649 현 정부, 첫 번째 새만금 관광개발 1,443억 민간투자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3
1648 2024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 자치단체별 차등배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3
1647 공공데이터 기반 사회현안 해결 아이디어 발굴 「오픈데이터포럼 해커톤」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8
1646 시민참여 전국자연환경조사 화보집 배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2
1645 3국 환경장관, 황사개선 협력 등 공동합의문 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3
1644 보건복지부 제1차관, 동절기 대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및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5
1643 가을 숲에서 진행된 기후위기 대응 글로벌 캠페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2
1642 환경부 장관 “소상공인도 활짝 웃는 일회용품 정책 모색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0
1641 한국형 환경정책을 바탕으로 녹색산업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40 환경·사회·투명 경영(ESG)는 경제의 `덫`아닌 성장의 `발판` 인식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5
1639 2023년 장애인 건강보건 통합성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38 3국 환경장관, 동북아지역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
1637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유공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8
1636 규제혁신으로 지방의 미래를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