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개발인도지원 정책대화 최초 개최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01

한미일 3국은 지난 8월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 후속 조치로 10.29.()-10.30.(양일 간 미국 호놀룰루에서 개발·인도지원 정책대화를 최초로 개최하였다.

 

   동 정책대화에는 원도연 외교부 개발협력국장미쉘 수밀라스(Michele Sumilas) 국제개발처(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이하 USAID), 카즈야 엔도(Kazuya Endo) 일본 외무성 국제협력국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한 가운데우리측의 기재부수출입은행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각 국의 유·무상 협력 주관기관 및 이행기관이 함께 참석하였다.

 

 한미일 3국은 금번 정책대화에서 ?각국의 인태지역 전략 하 개발협력 정책 공조 ?공적개발원조(ODA) 이행기관(KOICA-USAID-JICA) 간 협력 ?개발금융 및 인프라 협력 ?인도적 지원 및 재난위험 경감 ?개발협력과 공공외교 등 3국 간 개발·인도지원 정책 전반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한미일 3국은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개발협력 파트너로서 우크라이나 전쟁 등 분쟁과 기후변화펜데믹 등 글로벌 복합위기에 공동으로 대응하고협력국의 주인의식을 기반으로 한 현지 주도 개발협력민간부문의 참여인도적 지원-개발-평화 연계 등을 한층 강화하면서한미일 각국의 장점을 살려 상호 보완적인 방향으로 개발 분야에서의 협력을 심화·확대해 나가기로 하였다.

 

 

 특히한미일 3국은 인도-태평양 지역 대한 캠프 데이비드 원칙을 재확인아세안 및 태평양·도서국들의 자유·평화·번영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후변화 대응, 연계성 강화, 해양안보 뿐만 아니라 사이버 안보인공지능 등 디지털 분야에서 개발협력 공조 가능성을 함께 모색해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인도-태평양 지역을 넘어 아프리카 및 중앙아 지역에서 미래세대 역량 강화여성·평화·안보보건의료 등 분야에서의 협력도 강화해 나가기로 하고?인도적 지원 공조 ?긴급구호 분야 공동훈련 ?재난위험 경감을 위한 정보유 등을 통해 급증하는 인도적 위기와 재난에 한미일 3국이 함께 적극적로 대응해나가기로 하였다 

 

 한편, KOICA-USAID-일본국제협력기구(JICA) 등 공적개발원조(ODA) 이행기관 간 소통·력 강화를 통해 한미일 3국이 공통적으로 추진 중인 개발협력 분야에서 다 구체적인 3국 간 협력사업을 모색·연계하고향후 협력 분야와 지역을 점차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금번 한미일 정책대화는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 이후 한미일 3국이 구체적인 협의체를 통해 3국 간 협력의 모멘텀을 이어가는 한편인태지역에서 3국 간 협력을 개발협력 분야로 확대한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한미일 3국은 글로벌 위기 대응을 위해 3국 간 협력을 지속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한미일 개발?인도지원 정책대화를 격년마다 정례적으로 개최하고 차기 정책대화는 2025년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하였다.

 

붙임정책협의회 사진.  .


(외교부, 2023.10.3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7013&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5,A00012,A00019,A00013,A00032&startDate=2023-10-29&endDate=2023-10-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05 제품 내 재생원료 사용량 인증 가능해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4
1704 한국, 미·유럽연합·일 등 13개국과 메탄 측정 표준화 협의체(MMRV Framework) 창립멤버로 참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5
1703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실천, 중견기업이 앞장섭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3
1702 2023년 에너지 산업발전의 주역들 누구일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6
1701 중소·중견기업의 에너지 효율개선 확산을 위한 정부지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5
1700 철강 등 수출기업,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 향후 이행법에 우리 입장 반영 요청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4
1699 (참고자료)신재생에너지 감사, 산업부 무거운 책임감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1
1698 여성최고경영자(CEO)와 함께 미래여성경제인으로 성장!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5
1697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2
1696 액화석유가스(LPG) 가격안정 위해 정부와 관련 업계 협력 다짐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3
1695 전기차충전기 국내 시험만으로 미국인증 획득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5
1694 민간 주도의 사용후 배터리 거래 시장이 본격 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9
1693 기술기반 여성기업의 축제, 여성벤처주간 개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9
1692 친환경 모빌리티 분야 순환경제 지원기반 마련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9
1691 한-미 동맹 70주년, 무탄소에너지 동맹으로 재도약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0
1690 직장 내 다양성·포용성 높여함께 일하기 좋은 기업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8
1689 중견기업, 스타트업과 혁신의 해법을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3
1688 삼성·현대·LG·포스코, 여성 공학 인재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6
1687 함께 사는 대한민국, 함께 하는 ‘제품안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7
1686 국제(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협력의 장, 10개국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에서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