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사회·투명 경영 의무공시 대응지원…국내외 전문가 초청 교육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0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01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11월 1일부터 이틀간 한국프레스센터(서울 중구 소재)에서 주요 수출기업들이 국제사회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의무화에 대비할 수 있도록 기업 대상 교육을 진행한다.

 

  이번 교육 주제는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중대성(Materiality)* 평가를 비롯해 온실가스 간접배출(스코프 3)** 산정의 기준과 방법 등이다반도체자동차 부품 등 공시 의무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 실무자 및 관리자 약 80명이 참석한다.

 

 *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주요 이슈를 선별하는 과정

 ** 기업의 가치사슬에서 배출되는 모든 온실가스(제품의 사용?폐기, 직원 출퇴근 등)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국제표준(ISO 14064) 제정을 주도한 존 쉬들러(John C. Shideler) 퓨처패스트 대표유럽 지속가능성 공시의 중대성 평가 지침을 설계하고 있는 젬마 산체스 데인즈(Gemma Sanchez Danes)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 위원, 온실가스 간접배출(스코프 3) 표준 및 산정 전문가인 위킨퐁(Wee Kean Fong) 온실가스 프로토콜(GHG Protocol) 이사 등이 강사로 참여한다.

 

  교육 과정은 △국제사회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정보공시에서 요구하는 중대성 평가방법 이해, △재무가치 평가결과의 지속가능성 보고 활용, △유럽 지속가능성 보고 표준 이해, △온실가스 간접배출(스코프 3) 산정방법 및 조직경계 이해 등이다‘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기회?위험 영향의 재무가치 평가와 온실가스 간접배출(스코프 3) 산정의 실제 사례를 이용한 실습 기회도 갖는다.

 

 

  최흥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환경·사회·투명 경영(ESG)과 관련한 규제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업계와 소통하면서 내실있는 교육을 제공하는 등 기업들이 규제 속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찾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글로벌 지속가능성 공시 교육’ 개요.  끝.


(환경부, 2023.10.3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7076&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5,A00012,A00019,A00013,A00032&startDate=2023-10-29&endDate=2023-10-3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95 아세안 7개국 대상 한국-국제노동기구 고용·산재보험 초청 연수 실시 비회원 2023-12-01 243
1794 우리나라 대표단, 대서양 고래자원 보호 논의 주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71
1793 미국 해양포유류보호법(MMPA) 동등성 평가 대응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5
1792 분산법 하위법령(시행령·규칙) 제정안 공청회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9
1791 ‘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최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47
1790 나눔과 봉사로 담근 172톤 김치가 올겨울 대한민국을 따뜻하게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4
1789 보건복지부, 태평양도서국과 보건의료 협력의 새장을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1
1788 국민안전과 밀접한 우수 재난안전제품 발굴?보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4
1787 취약계층 대상 국립공원 생태나누리(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3
1786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자동차 만들자… 차량 업계 기반 마련 한뜻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1
1785 생활화학제품 안전사회 구현… 민관 협약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 선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0
1784 겨울철 취약시설 안전점검 및 복지 위기가구 발굴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11
1783 탄소배출 0g! 일상 속 탄소배출 행위와 생각 바꾼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3
1782 지방자치단체 복지사업 업무 편의 증진을 위한 오픈마켓 플랫폼 확대 운영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5
1781 행복한 결혼?출산?양육을 위한 연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6
1780 초미세먼지 고농도 예보 조기 제공 권역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1
1779 환경영향평가 제도개선 위해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8
1778 전기차 충전 편의성과 산업경쟁력 강화… 얼라이언스(협의체) 출범 첫 공식활동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8
1777 미세먼지, 황사 등 동북아 환경문제 대응을 위한 역내 국가들간 협력을 가속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9
1776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운영현황 점검 및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