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여성의 일터 복귀 지원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1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02

한국고용정보원(원장 김영중)은 경력단절여성* 구직자의 경제활동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경력단절여성 맞춤형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정 및 보급했다고 밝혔다.

* 임신, 출산, 육아와 가족 구성원의 돌봄 등의 이유로 경제활동을 중단했거나 경제활동을 한 적이 없는 여성 중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

 

‘2022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여성가족부)’ 결과, 경력단절여성의 취업 자신감 고취, 진로 탐색, 구직 준비 등을 위한 취업지원 대책이 요구됨에 따라

 

최근 고용 환경의 변화, 경력단절여성 구직자의 특성 변화 등을 반영해 새일스타트와 새일플러스 2종의 프로그램을 보급했다.

 

 

 

[참고] 2022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주요결과

 

 

?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 : 42.6%

? 경력단절 기간 : 8.9년

? 경력단절 이후 재취업 시 애로사항 : ①일자리 정보부족(16.8%), ②사회적응에 대한 자신감 부족(13.9%), ③일자리 경험·경력 부족(13.5%), ④자녀양육으로 인한 구직활동 시간 부족(13.0%)

 

진로탐색을 위한 새일스타트는 아직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경력단절여성 구직자를 대상으로 ▲나는 경력 ‘보유’ 여성, ▲나의 삶과 일, ▲여성 고용환경 변화, ▲재취업 도전직업, ▲나의 성향 탐색, ▲나의 역량과 직업, ▲경단여성 재취업 준비를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일에 대한 자신감 고취와 새로운 경력을 위해 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취업역랑 강화를 위한 새일플러스는 진로가 결정된 경력단절여성 구직자를 대상으로 하며, ▲취업희망직업 검토 및 확장, ▲취업희망직업 정보 탐색, ▲자기 이해, ▲채용정보 탐색, ▲취업희망직업 관련 강점 기술 등 재취업에 대한 역량을 강화를 지원하는 과정이다.

 

이번에 개정·보급된 2종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은 전국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집단상담 형태로 운영된다. 프로그램 참여는 무료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경력단절여성 구직자는 누리집*이나 각 지역의 여성새로일하기센터로 전화 문의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 일정을 확인하여 신청할 수 있다.

* 누리집 : saeil.mogef.go.kr / 대표 전화 : 1544-1199

 

김영중 원장은 “저출산·고령화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중요한 시기임에 따라 취업지원프로그램을 보급해 경력단절여성이 일터 복귀에 대한 자신감과 의욕을 고취하고, 원하는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붙임: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프로그램(새일스타트, 새일플러스) 구성



(고용노동부, 2023.10.3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6842&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11-02&endDate=2023-11-02&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795 아세안 7개국 대상 한국-국제노동기구 고용·산재보험 초청 연수 실시 비회원 2023-12-01 243
1794 우리나라 대표단, 대서양 고래자원 보호 논의 주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71
1793 미국 해양포유류보호법(MMPA) 동등성 평가 대응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5
1792 분산법 하위법령(시행령·규칙) 제정안 공청회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9
1791 ‘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최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47
1790 나눔과 봉사로 담근 172톤 김치가 올겨울 대한민국을 따뜻하게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4
1789 보건복지부, 태평양도서국과 보건의료 협력의 새장을 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1
1788 국민안전과 밀접한 우수 재난안전제품 발굴?보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4
1787 취약계층 대상 국립공원 생태나누리(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3
1786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자동차 만들자… 차량 업계 기반 마련 한뜻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1
1785 생활화학제품 안전사회 구현… 민관 협약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 선언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190
1784 겨울철 취약시설 안전점검 및 복지 위기가구 발굴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11
1783 탄소배출 0g! 일상 속 탄소배출 행위와 생각 바꾼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3
1782 지방자치단체 복지사업 업무 편의 증진을 위한 오픈마켓 플랫폼 확대 운영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05
1781 행복한 결혼?출산?양육을 위한 연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6
1780 초미세먼지 고농도 예보 조기 제공 권역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1
1779 환경영향평가 제도개선 위해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8
1778 전기차 충전 편의성과 산업경쟁력 강화… 얼라이언스(협의체) 출범 첫 공식활동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38
1777 미세먼지, 황사 등 동북아 환경문제 대응을 위한 역내 국가들간 협력을 가속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9
1776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운영현황 점검 및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30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