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에 근로자건강센터·직업트라우마센터 신설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16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사장 안종주)은 11월 9일(목) 15시 개소식을 시작으로, 경남 거제시 근로자건강센터 및 직업트라우마센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 운영기관: 대우의료재단 대우병원(병원장 진대호), 운영기간: ’23.7.1.~‘25.12.31.


’22년 10월 발표된 ‘조선산업 격차해소 및 구조개선 대책’에 따라 설치되는 거제근로자건강센터는 거제지역 50인미만 사업장 근로자 및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건강상담 및 관리 등의 건강지킴이*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직업트라우마센터는 중대재해 등 근로자가 겪는 트라우마**에 대한 맞춤형 심리상담을 통해 근로자의 마음건강 회복을 지원한다.

* 종합상담, 뇌심혈관 질환 기초검사 및 개선활동, 근골격계질환 예방 프로그램, 직무스트레스 검사 및 심리상담, 소규모 사업장 작업환경관리, 건강진단 사후관리 등

** 중대재해, 중대산업사고, 동료의 자살, 직장 내 괴롭힘 등 충격적인 사고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근로자가 호소하는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등


현재 거제근로자건강센터를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45개(분소 22개 포함)의 근로자건강센터와 14개의 직업트라우마센터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특히, 이번에 개소한 거제근로자건강센터는 정부 지원금 외에도 거제시가 추가로 지역 근로자 건강증진을 위해 건강센터 운영에 필요한 장비 등(약 4억원)을 지원하여 설치된 ‘중앙정부-지자체 협업 우수사례’다.


고용노동부는 근로자건강센터가 소규모 사업장의 건강지킴이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며, 민간기업 또는 지자체가 설치?운영하는 근로자 보건?건강지원시설과도 긴밀히 연계하여 5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및 특수고용형태근로자들이 보건?건강관리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지역 내 건강관리 체계를 촘촘히 구축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24년) 근로자건강센터 1개소, 직업트라우마센터 9개소 추가 설치 예정



<붙임1> 행사 개요

<붙임2> 거제근로자건강센터 개요

<붙임3> 근로자건강센터 주요 업무

<붙임4> 근로자건강센터 안내자료

?<붙임5> 근로자건강센터 설치현황



(고용노동부, 2023.11.0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8938&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01,A00023&startDate=2022-11-16&endDate=2023-11-16&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555 외국인력 조기 정착 및 직업훈련 지원 4천명으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444
1554 “고용노동부, 대형 산업재해 대응 「2023년 안전한국훈련」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339
1553 현대자동차와 함께 친환경차 정비과정 개발·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473
1552 내년 2월 1일부터 건설현장의 화장실 설치기준이 강화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454
1551 도전하고, 경력을 잇고, 성장하고 있는 ‘나는 일하는 여성’입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347
1550 경력단절여성의 일터 복귀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316
1549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개원 40주년 기념식 개최 ‘산재의료와 공공의료 미래’를 다짐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289
1548 모성보호 신고센터가 권리구제를 도와드립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335
1547 국내 최초 무역항 내 액화천연가스(LNG) 공급(벙커링) 및 화물 하역 동시작업 실증 성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306
1546 선박·해양시설의 오염물질 배출 부담금 부과·징수 권한 해양경찰서로 일원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294
1545 한국고용정보원, ‘안전보건’+‘부패방지’ 두 마리 토끼 잡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290
1544 현장 경력자도 안전관리자가 될 수 있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303
1543 한기대 ‘도급사업 안전실천 결의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2 292
1542 휠체어 이용 어린이도 안전하게 놀 수 있는 놀이터 환경이 조성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327
1541 환경·사회·투명 경영 의무공시 대응지원…국내외 전문가 초청 교육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301
1540 투르크메니스탄에 물산업 수출 초석 다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305
1539 환경부 장관 “한-베트남 환경협력, 한 단계 더 발전시키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86
1538 핵심광물, 천연가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수소경제 등 호주와 에너지 공급망 협력강화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71
1537 한미일 개발인도지원 정책대화 최초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80
1536 한-독 청정수소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01 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