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민·관 논의의 장 열려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8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중앙사회서비스원(원장 조상미)은 11월 1일(수) 14,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서울 중구 소재)에서 5차 사회서비스 정책 포럼 개최하였다.

 

  정부는 사회서비스 고도화 추진방향*에 따라 지역사회서비스 양(量)을 확대하고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이번 행사는 민·, 특히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국민 함께 모여 지역사회서비스 고도화 위한 방안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5.31일 보도자료] ‘국민이 체감하는 선진 복지국가 전략 수립’ 참조

 

  중앙사회서비스원 조상미 원장의 개회사 보건복지부 김기남 사회서비스정책관  아동권리보장원 정익중 원장의 축사로 시작된 이번 행사는 중앙사회서비스원 유튜브*를 통해서도 실시간 중계되었다.

 

   * 중앙사회서비스원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kcpass

 

  이날 행사는 1부의 시상식 2부의 포럼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1에서는‘지역사회서비스 행복스토리 공모전’의 수상작에 대한 시상식이 진행되었다보건복지부는 지난 9 14일(목)부터 10월 13일(금)까지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사례와 관련 콘텐츠를 공모하고 총 185건의 사례와 51건의 콘텐츠를 접수하였으며이 중 관련 분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거쳐 8건의 수상작을 선정하였다.

 

  수상작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 장관 및 중앙사회서비스원 원장의 상장과 상금이 수여되었다특히대상과 최우수상 수상자는 이날 행사에서 이용 경험을 직접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역사회서비스 행복스토리 공모전 수상 내역 >

분야

구분

인원()

시상 내역

수상자 및 작품명

글 부문

대상

1

보건복지부

장관상

(이수아) 불안함과 초조함 속에 숨어있던 나의 진짜 마음

최우수상

2

보건복지부

장관상

(박정해, 백도유) 엄마·아빠가 없으면

(김시현) 나의 지난 발자국과 쉼표,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과 함께하다

우수상

2

중앙사회서비스원

원장상

(유재진) 곪은 마음을 치유했다

(손해원) 가시없는 ‘호저’를 바라며

콘텐츠

부문

행복상

1

중앙사회서비스원

원장상

(신이지, 길지민) 지역사회서비스 희망찬 내일을 말하다

감동상

2

중앙사회서비스원

원장상

(김유진, 박정수) 나에게 지역사회서비스는 어떤 존재일까

(채보원) 키가 쑥쑥 몸도 튼튼,

우리는 바른체형 키성장 수업해요

 

   * 각 수상작의 내용은 < 붙임3 > 참조

 

  2부 포럼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박세경 선임연구위원‘지역사회서비스의 현황과 미래’를 주제로 한 기조강연으로 시작되었다. 박세경 연구위원 기조강연을 통해 2007지역사회서비스가 도입된 후그간의 발전 경과와 현황 진단하고 고도화를 위한 개선 방향 제언하였다.

 

  이어 중앙사회서비스원 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강현옥 단장은 각 지역의 상황과 특성을 반영한 변화가 중요함을 강조하며 구체적 혁신사례를 소개하였다기도 복지사업과 복지사업팀 이은주 팀장은‘일상돌봄 서비스 사업’사례를 통해 일상돌봄 서비스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추진현황과 계획을 소개하였다. 이후, 성공회대 김용득 교수를 좌장으로 앞선 두 주제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었다. 

 

   * 동국대 최상미 교수울산시 복지정책과장 박경례전북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정하나 단장김태우 심리언어연구소 김태우 대표복지부 사회서비스사업과장 권민정

 

  보건복지부 김기남 사회서비스정책관은“사회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이용자 및 공급자 지원 확대신규 서비스 개발·제도 개선 등 혁신기반 조성으로 지역사회서비스가 국민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서비스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중앙사회서비스원 조상미 원장은“17년간 국민의 곁을 지켜온 지역사회서비스 보다 더 친숙하고 질 좋은 서비스로 발전할 수 있도록 중앙사회서비스원도 제공기반을 조성하고 지원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23.11.0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8482&pageIndex=30&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6&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89 장애인 고용의무 불이행 기관·기업 457개소 명단공표 비회원 2023-12-20 337
1988 해상풍력 보급 대폭 확대, 가격경쟁도 본격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9
1987 대·중소기업의 함께 성장 대한민국에 울려 퍼지는 납품대금 연동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46
1986 민간과 지역주도로 지속가능한 상권 조성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9
1985 장애인고용공단, ‘직무개발 성과공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97
1984 개도국 소재 섬유·의류 기업, 글로벌 노동·통상 규범 동향 면밀 모니터링 및 선제적 대응 필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30
1983 소규모 재생에너지 계통접속제도 개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31
1982 중수로 원전해체 연구거점 구축 첫 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76
1981 출산·육아에 친화적인 기업이 수출실적도 우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8
1980 「직업안정법」, 「고용보험법 시행령」 등 고용노동부 소관 법령 개정안 3건 국무회의 심의·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0
1979 섬유업계 친환경 지속가능 순환경제로의 전환 구심체 가동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76
1978 프랑스 통상장관과 프랑스 전기차 보조금 등 통상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9
1977 중소벤처기업부-대한적십자사가 함께 따뜻한 온기 나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67
1976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 전환과 기업투자 본격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3
1975 갯벌복원사업 사후 관리 및 활용방안 논의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68
1974 석유산업의 신성장 전략과 친환경연료의 역할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62
1973 (참고) 고용노동부, 충남 아산 화재·폭발사고 엄중조사 및 처벌 방침 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1
1972 갯벌·해조류 등 신규 블루카본의 국제인증 위한 토론회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9
1971 근로자의 행복이 기업의 경쟁력이 되는 ‘가족친화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64
1970 전기차·바이오 분야 정상 경제외교 후속 성과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