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즐기는 2024년도 열린관광지 30개소 선정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1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사장 김장실, 이하 관광공사)와 함께 ‘2024년 열린관광지 조성 사업’ 지원 대상으로 12 관광권역의 관광지 30개소를 선정했다. 이는 20개소를 선정했던 작년에 비해 150% 확대된 규모이다.

 

  ‘열린관광지 조성 사업’은 장애인고령자영유아 동반가족 등 관광계층이 편리하고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관광지의 보행로경사로, 이용?편의시설 등을 개?보수하고모두가 즐길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132개소가 열린관광지로 선정됐으며, 그 영역은 캠핑과 수상레포츠, 등산, 천체 관측 등 다양한 체험형 관광지까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문체부가 무장애 관광환경 조성을 더욱 앞당기고자 예년보다 빨리 진행한 이번 공모에는 28개 지방자치단체, 67개 관광지점이 지원해 역대 가장 높은 신청률을 보였다문체부는 1차 신청 자격 확인, 2차 서면 심사, 3차 현장평가를 거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레일바이크 등 누구나 선호하는 관광지 총 30개소를 최종 선정*했다.

 

<* 2024년도 열린관광지 선정 결과>

연번

광역

기초

관 광 지(30)

1

강원

춘천

삼악산호수케이블카김유정 레일바이크애니메이션박물관&토이로봇관

2

경기

파주

공릉관광지, 마장호수, 임진각 관광지

3

연천

재인폭포 공원, 연천 재인폭포 오토캠핑장, 한탕강댐

4

충북

보은

속리산 법주사, 속리산 테마파크

5

충남

당진

합덕제 수변공원, 솔뫼성지

6

전북

고창

동호해수욕장(동호국민여가캠핑장), 복분자 유원지(고창국민여가캠핑장)

7

전북

전주

전주수목원, 팔복예술공장, 전주 한벽문화관

8

경북

구미

금오산 올레길&에코힐링 숲, 구미 에코랜드

9

안동

월영교, 선성현문화단지

10

영덕

고래불해수욕장, 괴시리 전통마을

11

경남

창원

여좌천, 진해해양공원, 창원의 집(역사민속관)

12

울산

-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대왕암 공원, 강동 오토캠핑장

 

 

  선정된 관광지는 앞으로 배리어프리* 전문가들의 맞춤형 상담(컨설팅) 쳐 관광지별 특성에 맞는 세부 개선계획을 확정한 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설 개?보수 및 관광취약계층 유형별 관광콘텐츠를 확충할 계획이다.

  * 장애인·노인·임산부 등 모든 시설이용자가 각종 시설물을 더욱 편안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편의시설의 설치·관리여부를 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

 

  아울러 문체부는 조성이 완료된 열린관광지를 무장애 관광정보 플랫폼(?모두의 여행?, access.visitkorea.or.kr) 등을 통해 온·오프라인으로 홍보하고 관광취약계층이 직접 대상지를 방문할 수 있도록 나눔여행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해 열린관광지가 국민 누구나 선호하는 관광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한다또한 배리어프리 전문가와 장애인 등 수요자가 참여하는 점검과 상담을 통해 열린관광지가 내실 있게 관리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계획이다.

 

  문체부 박종택 관광정책국장은 “아직까지 관광취약계층의 관광환경은 열악한 실정”이라며, “열린관광지를 대폭 확대하고 무장애 인식개선 교육, 숙박시설 등 무장애 관광정보 확충, 무장애 여행상품 지원과 같은 다양한 정책을 지원해 무장애 관광여건을 만드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 2023.11.0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8764&pageIndex=2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1-01&endDate=2023-11-26&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83 소규모 재생에너지 계통접속제도 개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25
1982 중수로 원전해체 연구거점 구축 첫 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76
1981 출산·육아에 친화적인 기업이 수출실적도 우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8
1980 「직업안정법」, 「고용보험법 시행령」 등 고용노동부 소관 법령 개정안 3건 국무회의 심의·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0
1979 섬유업계 친환경 지속가능 순환경제로의 전환 구심체 가동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76
1978 프랑스 통상장관과 프랑스 전기차 보조금 등 통상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9
1977 중소벤처기업부-대한적십자사가 함께 따뜻한 온기 나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67
1976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 전환과 기업투자 본격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2
1975 갯벌복원사업 사후 관리 및 활용방안 논의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68
1974 석유산업의 신성장 전략과 친환경연료의 역할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62
1973 (참고) 고용노동부, 충남 아산 화재·폭발사고 엄중조사 및 처벌 방침 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1
1972 갯벌·해조류 등 신규 블루카본의 국제인증 위한 토론회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9
1971 근로자의 행복이 기업의 경쟁력이 되는 ‘가족친화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64
1970 전기차·바이오 분야 정상 경제외교 후속 성과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69
1969 다시 찾은 일상, 근로복지공단이 전하는 산재근로자 장해극복 감동 스토리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3
1968 (참고자료)프랑스 전기차 보조금 차량에 대한 재평가 요구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93
1967 미국 배터리 시장 진출 시 규제 대응 및 분쟁 예방 방안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96
1966 친환경 정·제련 기술개발로 희소금속 공급망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2
1965 (참고자료)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첨단제조 생산세액공제 잠정 가이던스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306
1964 청년부터 고령자까지 세대 상생을 위한 대화의 장 열리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