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다양성·포용성 높여함께 일하기 좋은 기업 만든다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2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원장 장명선)은 11월 14일(화) 서울 롯데타워에서 기업 내 다양성 및 성별균형 제고를 위한 인사담당자 공동연수(워크숍)를 실시한다.

 

ㅇ 이번 공동연수에는 직장 내 다양성과 포용성 확산에 관심이 있는 기업 인사담당자 50여명이 참석하며, 직장문화 개선에 필요한 이론 및 사례 교육을 진행한다.

? (교육명) HR메이커 : DEI를 조직에 적용하려면?

? (일시/장소) 11월 14일(화) 10∼16시 / 잠실 롯데타워

? (규모) 기업 인사담당자 50인 내외

 

□ 참가자들은 기업의 조직?인사경영 부문에서 주목받고 있는 ‘다양성(Diversity)·공평(Equity)·포용(Inclusion)(이하 ‘DEI’)’ 가치를 중심으로 실제 기업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사 및 경력 개발 제도 등에 대한 고민을 나눌 계획이다.

 

< 다양성(Diversity), 공평(Equity), 포용(Inclusion) >

① 다양성 :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을 강조

② 형평성 : 모든 구성원에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할 것을 의미

③ 포용성 : 구성원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을 의미

 

ㅇ 오전 일정에서는 ‘다양성(Diversity)·공평(Equity)·포용(Inclusion)’ 경영의 실제 사례와 관련 법제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진다. ‘다양성(Diversity)·공평(Equity)·포용(Inclusion)’ 경영 전략을 적용한 기업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다뤄 현장의 현황을 살펴보는 한편, ‘다양성(Diversity)·공평(Equity)·포용(Inclusion)’ 경영 전략을 뒷받침하는 국내외 법제화 사례를 공유한다.


ㅇ 오후 일정에서는 기업의 인사제도에 ‘다양성(Diversity)·공평(Equity)·포용(Inclusion)’ 경영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강의가 이루어진다. 기업에서 ‘다양성(Diversity)·공평(Equity)·포용(Inclusion)’ 관련 제도 도입부터 포용적 문화가 형성되기까지의 과정을 세분화하여 안내하고 실제 적용을 위한 방안을 토의할 예정이다.

 

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은 공동연수에 앞서 연수 참석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직장문화 개선과 관련한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인사 실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성(Diversity)·공평(Equity)·포용(Inclusion)’ 경영을 실천하는데 겪는 어려움과 개선을 위한 제안사항 등을 이야기 할 예정이다.

 

□ 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은 “기업 경영에서 재무적 지표 뿐 만 아니라 비재무적 지표가 가지는 다양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다양성과 형평성, 포용성은 기업 혁신의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ㅇ “이번 공동연수가 다양한 기업의 인사담당자 간 교류가 활성화되고, ‘다양성(Diversity)·공평(Equity)·포용(Inclusion)’ 문화가 기업 현장에서 빠르게 확산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붙 임】 기업 내 다양성 및 성별균형 제고 공동연수개요



(여성가족부, 2023.11.1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9817&pageIndex=7&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2-11-27&endDate=2023-11-27&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663 (참고자료)정부, 겨울철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대책 선제적으로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
1662 (참고자료)정부, 겨울철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대책 선제적으로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8
1661 필수의료 위기 극복을 위해 소비자와 환자 관점의 논의 중요성 공감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87
1660 무공해차 이제 그린카드로 충전하고, 탄소중립 실천 혜택도 받아가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0
1659 민간투자 8개사와 녹색산업 투자 가속화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1
1658 ‘슬기로운 동네생활’ 프로젝트로 지역경제 활력 업up!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9
1657 일회용품, 소상공인 부담 해소하며 국민의 자발적 참여로 감량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8
1656 자동차 배출가스 누리집에서 내 차 환경분석 정보 쉽게 확인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9
1655 환경기술개발 미래전략 논의를 위한 첫걸음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2
1654 복지부 제1차관, 약자 복지강화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9
1653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보건의료수요자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3
1652 정부-지자체-민간이 함께 ‘탄소중립도시’ 최적지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42
1651 소방안전교부세, 과학기술 활용한 신종재난 예측 등 재난안전 투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2
1650 실내환경관리센터 최초로 문 연다… 관리 및 정책 지원 전문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27
1649 현 정부, 첫 번째 새만금 관광개발 1,443억 민간투자 실현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35
1648 2024년도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 원 자치단체별 차등배분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7
1647 공공데이터 기반 사회현안 해결 아이디어 발굴 「오픈데이터포럼 해커톤」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8
1646 시민참여 전국자연환경조사 화보집 배포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194
1645 3국 환경장관, 황사개선 협력 등 공동합의문 서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15
1644 보건복지부 제1차관, 동절기 대비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및 경로당 현장방문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1-27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