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동맹 70주년, 무탄소에너지 동맹으로 재도약 모색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0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1-27

한-미 동맹 7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지난 4월 양국 정상은 기후위기 대응과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를 위해 세계(글로벌) 행동을 촉진하고, 청정전력 확대 및 청정에너지 경제를 구축에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실행력을 확보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무탄소에너지 동맹으로 재도약하기 위해 11. 13.(월)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한-미 동맹 70주년 기념 청정에너지 학술대회(콘퍼런스)」를 개최하였다. 이날 학술대회(콘퍼런스)는 미국 에너지부, 양국의 기업, 학계, 연구계 전문가 2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주제별 부문(세션)에서는 에너지 분야의 탈탄소화를 촉진하는 세계(글로벌) 운동인 무탄소에너지(Carbon-Free Energy) 활용, 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수소 기술개발 및 보급 등을 통한 탄소 관리 및 상용화, 첨단 배터리 기술개발 및 배터리 재활용의 협력 기회에 대해 산업계를 중심으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기술 부문(세션)에서는 한국의 주요 연구소와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립연구소를 중심으로 청정에너지 혁신기술에 대한 패널토론, 기술 소개 홍보(Pitch) 및 양국의 연구자 간 토론 및 교류의 시간을 가졌다.

 

이날 학술대회(콘퍼런스)의 기조 강연에서는 지난 9월 국제연합(UN) 총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제안을 계기로 지난 10월 실제적 협력 플랫폼으로 공식 출범한 무탄소(CF) 연합의 이회성 회장이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를 소개하였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 세계(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에 이바지하기 위해 다양한 무탄소 에너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확산에 동참할 것을 호소하였다.

 

방 장관은 개회사에서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면서도 에너지 안보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원전, 재생에너지, 수소 등 다양한 무탄소에너지(CFE)를 폭넓게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하면서, “화석연료 시대에서 시작해 온 지난 70년간의 양국 동맹을 앞으로 무탄소에너지 동맹으로 전환하고 더욱 굳건히 하길 바라며, 이를 통해 당면한 에너지 및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세계(글로벌) 협력을 이끌어나가는 데 함께 노력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 임】 1. 한-미 동맹 70주년 기념 청정에너지 컨퍼런스 개요
2. 영문 보도자료



(산업통상자원부, 2023.11.1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599300&pageIndex=7&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15,A00013,A00032&startDate=2022-11-27&endDate=2023-11-27&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55 국내 최대규모의 「여수 안전체험교육장」 개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1
1954 “현장으로 나가 안전을 더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52
1953 ‘세계 식량 위기에 기여하는 케이(K)-농업’ 특집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9
1952 보건복지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제주지역 의료현장 의견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315
1951 「제4차 한-캐나다 개발협력 정책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95
1950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 전국 확산을 위한 성과공유 및 토론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90
1949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혁신방안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73
1948 ‘국민 안전’ 최우선으로 ‘치수 정책’ 전면 쇄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384
1947 의료취약지 주민의 건강을 지켜온 우수 보건진료소들의 운영 성과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86
1946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제7차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38
1945 사회서비스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사항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9
1944 보건복지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종합병원협의회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2
1943 재난에 적극 대비하고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받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72
1942 저출산 대응을 위해 전문가?청년 부부와 릴레이 대화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0
1941 지하수, 숨은 가치를 찾다… 활용 방안 새롭게 조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5
1940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을 위한 비축기지 구축사업 예타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74
1939 전기차 배터리 자원순환 미래를 연다… 포항시에 자원순환 집적단지 착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310
1938 보건복지부,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24개소에 ‘사회서비스 품질인증’ 부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3
1937 사회서비스 투자 펀드, 1호 투자 기업 탄생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90
1936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대구에서 개막… 기후위기 대비 물 재해 해결책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