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살리기 핵심은 기업 투자 확대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9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3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기업을 유치하여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내고 청년 등 인구가 지방으로 모여들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다시 기업이 지방에 투자하도록 만드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의 지방투자를 확대하는 정책적 지원방안을 논의하고자‘기업의 지방투자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12.12.(화) 13시 세종국책연구단지 대강당에서 ?제2회 지방시대 혁신성장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서는 대·중소기업, 로컬크리에이터, 스타트업 등 지방투자의 주체가 패널토론자로 직접 나서 생생한 경험과 정책 제언을 전달했다. 안동욱 (주)미소정보기술 대표이사는 기업의 지방 이전은 단순한 위치 변동이 아닌 새로운 성장 기회로 볼 필요가 있다며 기회를 잡으려면 철저한 시장조사와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고 정부의 지원책을 십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장영진 1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2023년은 지방분권균형발전법 제정,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등 윤석열 정부의‘지방시대’시작을 알리고 밑거름을 단단히 다진 한 해이자, 산업부도 지역경제 활력 회복을 위해 투자 애로 해소, 산단 규제 혁파, 첨단산업 육성 등에 역량을 집중한 한 해”라고 밝히며, “2024년에도 기업의 지방투자를 확대하고 지역에 좋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방시대위원회 이정현 부위원장은 패널토론의 좌장을 맡아 토론을 주도하였으며“지방소멸을 막고 지역균형발전을 달성하는 데 핵심적인 두 축은 일자리와 교육인 만큼 이번 정부에서 새롭게 도입한 기회발전특구와 교육발전특구가 지방에 새로운 기회를 많이 창출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12.12)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4651&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13&endDate=2023-12-13&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09 ‘반짝 매장’에서 환경표지 제도·제품 알아보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1
1908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관리 위해 정부·학계가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329
1907 국제 해사분야 현안 대응 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76
1906 모빌리티 충전산업 원팀 체제 가동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321
1905 날씨가 추워도 안전은 철저히!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74
1904 (참고자료)국빈방문 계기 네덜란드와 반도체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79
1903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및 사용 후 배터리 산업생태계 체계적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71
1902 (참고) 고용노동부, 급성중독 사망사고 발생한 영풍 석포제련소 엄중 조치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93
1901 산업재해 예방과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이정식 장관의 1박 2일 현장 행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313
1900 중소사업장의 산재 예방 지원, 현장에서 기업에게 묻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84
1899 지역경제 살리기 핵심은 기업 투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92
1898 카타르와 경제외교 성과(6조원)를 마중물로 친환경에너지?첨단산업까지 협력을 확대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55
1897 계획입지인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활성화를 위한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49
1896 선박연료 공급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량공급제도 도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55
1895 친환경농산물 인증기준 개선으로 농가·소비자 행복한 동행을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82
1894 중소기업과 함께하는 가족친화인증제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85
1893 새벽배송 종사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원하청 상생노력을 지원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44
1892 이제는 사업전환도 대중소 상생으로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50
1891 중소기업 근로자 노후보장 더욱 두터워 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49
1890 약자보호, 법치확립으로 노동개혁을 뒷받침하는 근로감독을 추진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