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충전산업 원팀 체제 가동한다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2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 이하 산업부)는 12.13.(수) 민관 합동 ‘모빌리티 충전산업 융합얼라이언스’ 발족하고, ?전기차 충전기 산업 육성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방향?을 발표하였다.

 

친환경?전기차 시장 성장과 함께, 충전인프라 시장도 중요성이 커지고, ’30년에는 3,25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출 기회가 커지는 동시에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려는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산업 육성과 수출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 전 세계 전기차 이용량: ’22년 3천만 대 → ’30년 2억 4천만 대 (IEA)

** 전 세계 전기차 충전기 보급 전망: ‘22년 270만기 → ’30년 1,270만기 (IEA)

 

정부는 업계 간담회 등을 통해 전기차 충전기 산업 육성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방향을 마련하였다. △충전기 산업화 역량 강화, △해외시장 진출 확대, △충전기 생태계 활성화 등 3대 축으로, ’30년까지 5대 핵심기술?SW를 확보하고, 세계시장 점유율을 ’22년 1.2%에서 ’30년 10%로 끌어올리는 한편, 매출 500억원 이상 충전기 제조사를 5개 이상 육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완성차 업계를 비롯해 충전기 제조업체, 부품업체, 충전서비스 운용사업자, 시험인증기관 등 40여 개 기업과 20여 개 기관 등이 참여하여 ?모빌리티 충전산업 융합얼라이언스?를 발족하고, 제조혁신, 서비스?그리드 융합, 시험?인증 신뢰성 강화, 시장진출 협력 등 4개 분야에 분과를 구성하여 추진하기로 했다.

 

?장영진 1차관은 “?모빌리티 충전산업 융합얼라이언스?가 모빌리티 충전산업을 수출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발판이 되길 바라며, 정부는 기업 활동을 적극 뒷받침하고, 규제완화와 기업애로 해소에도 더욱 매진하겠다”고 강조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12.1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4911&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13&endDate=2023-12-13&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09 ‘반짝 매장’에서 환경표지 제도·제품 알아보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1
1908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관리 위해 정부·학계가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329
1907 국제 해사분야 현안 대응 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76
1906 모빌리티 충전산업 원팀 체제 가동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321
1905 날씨가 추워도 안전은 철저히!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74
1904 (참고자료)국빈방문 계기 네덜란드와 반도체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79
1903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및 사용 후 배터리 산업생태계 체계적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71
1902 (참고) 고용노동부, 급성중독 사망사고 발생한 영풍 석포제련소 엄중 조치 예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93
1901 산업재해 예방과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이정식 장관의 1박 2일 현장 행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313
1900 중소사업장의 산재 예방 지원, 현장에서 기업에게 묻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84
1899 지역경제 살리기 핵심은 기업 투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92
1898 카타르와 경제외교 성과(6조원)를 마중물로 친환경에너지?첨단산업까지 협력을 확대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55
1897 계획입지인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활성화를 위한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49
1896 선박연료 공급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량공급제도 도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55
1895 친환경농산물 인증기준 개선으로 농가·소비자 행복한 동행을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82
1894 중소기업과 함께하는 가족친화인증제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85
1893 새벽배송 종사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원하청 상생노력을 지원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44
1892 이제는 사업전환도 대중소 상생으로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50
1891 중소기업 근로자 노후보장 더욱 두터워 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3 249
1890 약자보호, 법치확립으로 노동개혁을 뒷받침하는 근로감독을 추진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