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연구개발 성과 교류의 장 열려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0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2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국립재활원 보조기기연구개발사업단(단장 강윤규, 이하 보조기기 사업단)은 12월 20일(수) 오전 11시 아만티 호텔 서울 대연회장에서2023년 보조기기 연구개발(R&D) 성과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이 올해 종료되고후속 장애인·노인 자립생활을 위한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2024~2028)」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4년 동안 진행된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를 발표하고대표적인 개발 성과물을 전시하여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본 행사는 1부의 개회식 및 사업단 소개와 2부의 연구개발성과 발표와 토의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점심시간 또는 휴식시간을 활용하여 전시된 보조기기 개발 성과물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1부에서는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을 중심으로 보조기기 사업단에서 수행한 사업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였고, 2부에서는 각 과제별 연구 성과 발표 토의가 진행되었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많은 보조기기가 국산화되고 수요자의 필요에 부합하는 보조기기가 개발될 수 있었으며내년부터 시작될 후속 사업을 통해서도 첨단기술을 접목한 보조기기 개발 및 여러 지역으로의 열린제작실 확산을 통해 보다 많은 노인·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상세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국립재활원 보조기기연구개발사업단(단장 강윤규, 이하 보조기기 사업단)은 12월 20일(수) 오전 11시 아만티 호텔 서울 대연회장에서「2023년 보조기기 R&D 성과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2020~2023)」은 노인과 장애인의 일상 생활에 필수적인 보조기기 연구개발 및 보급·확산을 위해 국립재활원 보조기기 사업단에서 추진 중인 연구개발사업이다.

 

  이번 행사는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이 올해 종료되고후속 장애인·노인 자립생활을 위한 보조기기 실용화 연구개발사업(2024~2028)」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4년 동안 진행된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를 발표하고대표적인 개발 성과물을 전시하여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본 행사는 1부의 개회식 및 사업단 소개와 2부의 연구개발성과 발표와 토의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점심시간 또는 휴식시간을 활용하여 전시된 보조기기 개발 성과물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에서는 그간 보조기기 사업단에서 수행한 사업에 관한 내용을 발표하였다보조기기 사업단에서는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열린플랫폼은 열린사람들(보조기기 관련 당사자인 장애인·노인, 개발자 및 보조기기 산업 분야 전문가 등열린제작실(보조기기가 필요한 당사자와 전문가가 함께 보조기기를 개발할 수 있는 제작 공간열린페이지(조기기 개발 수요를 받고열린제작실을 통해 개발된 보조기기의 제작 방법을 공유하는 웹 페이지, http://www.nrc.go.kr/at_rd)로 구성된 플랫폼이다.

 

  특히, 열린제작실에서는 매 반기마다 보조기기가 필요한 당사자와 개발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팀을 구성하여열린페이지를 통해 파악된 보조기기 개발 수요를 바탕으로 실용적인 보조기기를 개발하고 있다2020년 하반기부터 개발을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반기마다 약 7~10개의 보조기기를 개발하여 총 54건의 실용적인 보조기기를 개발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양말신기 보조기기 ▲야간에도 사용 가능한 전동 휠체어 후방 카메라 모듈 등이 있다.

 

 

  2에서는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의 성과 발표와 토의가 진행되었다연구개발 성과 발표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이동 관련 보조기기와 ▲시각·청각 등 의사소통 및 일상생활에서의 보조기기로 나누각 과제를 통해 개발된 성과물과 이에 대한 보급·확산 방안에 대해 소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연구개발사업 성과 >

세션1 : 다양한 상황에서의 이동 관련 보조기기 연구성과 공유

좌장이성재 교수

(단국대학교 병원)

1

전동휠체어 등을 위한 공통 핵심 모듈 개발 및 적용

홍응표 연구위원 (재활공학연구소)

2

다양한 보조기기에 활용 가능한 배터리 개발 및 적용

양기일 대표 (㈜MPS코리아)

3

유연한 모듈 활용 보조기기 개발 및 적용

윤용탁 책임연구원

(㈜엔젤로보틱스)

4

승강용 보조기기 개발 및 적용

이동광 대표

(㈜HT&C)

5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용 보조기기 개발 및 적용

심우정 대표

(㈜휠라인)

6

대퇴 절단 장애인을 위한 공적급여기반의 다리의지 3종 개발 및 적용

박세훈

(재활공학연구소)

세션2 : 의사소통 및 일상생활 분야에서의 보조기기 연구성과 공유

좌장양영애 교수

(인제대학교)

1

위치, 상황 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보조기기 개발 및 적용

홍기형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2

점자로 문자와 그래픽 표현이 가능한 점자정보단말기 개발 및 적용

성기광 대표

(㈜닷)

3

다양한 환경, 상황에 대응하는 청각 보조기기 개발 및 적용

윤지현 대표

(㈜소리를보는통로)

4

가변형 욕실/화장실용 Universal Design 보조기기 모듈 개발 및 적용

강성필 실무책임자

(㈜스카이시스템)

5

여성장애인 또는 장애아동의 생애주기 대응 가능한 보조기기 개발 및 적용

김종배 대표

(㈜엠엘피)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많은 보조기기가 국산화되고 수요자의 필요에 부합하는 보조기기가 개발될 수 있었으며내년부터 시작될 후속 사업을 통해서도 첨단기술을 접목한 보조기기 개발 및 여러 지역으로의 열린제작실 확산을 통해 보다 많은 노인·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사업단장을 맡고 있는 국립재활원 강윤규 원장은 “보조기기 연구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 및 보급·확산으로 이어지는 공공 ? 산업 연계 체계를 구축하고보조기기사업단에서 연구개발된 보조기기는 노인과 장애인의 자립적인 일상생활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중요하므로 지속적인 사업수행이 필요하다”라고 하였다.


(보건복지부, 2023.12.2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6504&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15&endDate=2023-12-2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87 가축분뇨 에너지화로 저탄소 녹색축산업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19
2186 중소·중견기업 녹색투자 지원사업,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38
2185 문체부, 적극행정으로 장애인과 창작자 권리 보호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20
2184 최근 5년간 사다리에서 발생한 중대재해자 2백명 넘어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05
2183 전 국민의 95.1% 하수도 서비스 혜택, 11억 톤 이상의 물 재이용으로 수자원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24
2182 12월 임시국회, 중대재해처벌법 50인 미만 기업 추가 적용유예 입법 불발에 대한 정부 입장 [출처] 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15
2181 전기차 보조금 추가지급에 대한 구체적 방안은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확정·발표할 계획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08
2180 노인학대 관련 범죄자 취업제한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28
2179 장애계 신년인사회,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행하는 새해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36
2178 해운업계 「중대재해처벌법」 이행 돕기 위한 ‘20문 20답’ 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40
217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기업 대상으로 1,202억 원 규모 탄소중립설비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99
2176 2024년 고령자친화기업 공모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64
2175 보건복지부, 노인 일상생활 지원 강화를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41
2174 항공기 띄워 충남 서해안 미세먼지 집중 감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68
2173 기후위기 당사자가 직접 참여한 첫 탄소중립·녹색성장 이행점검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57
2172 거동불편노인, 1월부터노인맞춤돌봄서비스20시간이상으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11
2171 공급망기본법 제정에 따른 공급망 대응력과 회복력 제고 기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35
2170 ’24년 문체부, 청년과 취약계층, 산업, 지역 중점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0
2169 분산된 자살예방 상담전화 1월 1일부터 ‘109’로 통합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37
2168 겨울철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 첨단장비 활용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집중 감시 비회원 2024-01-08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