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사업보고 대회 열어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3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2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장애인개발원(원장 이경혜)은 12월 20() 11시 서울특별시 ?글래드 호텔?에서 ?2023년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사업보고 대회?를 개최하였다.

 

  장애아가족 양육지원사업은 중증장애아동(가족)에게 연간 960시간(2023년)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번 보고대회는 장애아가족 양육지원을 통해 장애인 복지증진에 기여한 기관 및 종사자 등을 시상하고 돌봄서비스 이용 우수사례 공유, 사업 성과 평가 등 금년 사업을 마무리하고, 향후 추진 방향과 보완 사항을 안내하여 원활한 사업추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장애아동에게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한 장애아돌보미 5명에 대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과 우수기관·지방자치단체 및 서비스이용사례 공모전 수상자 등에 대행 보건복지부 장관 상장을 수여하였다. 이후, 2023년도 사업 성과보고 및 우수사례 발표 등을 진행하였다.

 

 특히, 성과보고에서는 서비스 이용자(가족) 박현아 씨의 ?슬기로운 장애아 양육생활?이 최우수 사례로 소개되어 참가자들의 많은 호응을 이끌어 내었다.

< 사례공모전 돌봄서비스 이용 부분 최우수상 >

- 슬기로운 장애아 양육생활 (박현아) -

  “장애 아동 돌봄 서비스는 단순히 장애 아동뿐만 아니라장애아동 가족 모두에게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현실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경북에 거주하는 박현아씨는 첫째 아이가 복지카드를 받은 뒤부터 첫째의 재활치료에 매진한 탓에 둘째아이까지 양육하기에 힘에 부쳐 행정복지센터를 찾아 장애아 돌봄 서비스를 신청하였음

◇ 낯선 사람이 한 공간에 있다는 게 불편할거란 생각에 망설여졌지만돌봄 서비스를 통해 1케어교육놀이 등을 통해 첫째 아이의 성장이 이루어짐

◇ 박현아씨는 돌봄서비스로 확보한 개인시간을 활용하여건강하게 아이들을 키울 수 있는 체력을 키우는 중이며여성인력센터에서 취업 강좌를 수강하며 앞으로의 미래를 계획하고 있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정책브리핑제호.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4pixel, 세로 33pixel     

 

 

 행사의 마지막 순서로는 2024년도 사업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장애아동과 그 가족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짐을 하며 행사를 마무리하였다.

 

< 2024년도 장애아 돌보미 사업 추진방향 >

 

◇ (추진목표중증 장애아동 가족 구성원의 돌봄 부담을 경감하고 가족의 안정성을 강화하여 약자복지 실현

 

◇ (주요내용연간 장애아 돌보미 이용 시간 120시간 증가(연 960시간→1,080시간), 서비스 제공기관 성과평가 개선종사자 처우개선 등 추진

 

  보건복지부 송준헌 장애인정책국장은 “오늘 행사를 통하여 보다 많은 장애아동(가족)이 장애아 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계기가 되기 바라며, 장애아동에 대한 돌봄 서비스 확대로 장애인을 돌보는 가족들의 경제·사회적 부담이 완화될 것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앞으로도 장애인을 위한 촘촘한 복지체계를 구축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2023.12.2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6505&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15&endDate=2023-12-2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72 거동불편노인, 1월부터노인맞춤돌봄서비스20시간이상으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11
2171 공급망기본법 제정에 따른 공급망 대응력과 회복력 제고 기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35
2170 ’24년 문체부, 청년과 취약계층, 산업, 지역 중점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0
2169 분산된 자살예방 상담전화 1월 1일부터 ‘109’로 통합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37
2168 겨울철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 첨단장비 활용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집중 감시 비회원 2024-01-08 322
2167 ’23년 장애예술인 안정적 활동 기반 마련한 원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89
2166 ’24년도 무장애 관광 접근성과 연계성 강화할 지역 찾는다 비회원 2024-01-08 289
2165 환경부는 불법폐기물 근절을 위해 노력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76
2164 폐지수집 노인에게 노인일자리 제공 등 보건복지서비스 지원 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92
2163 기후변화에 대비한 소하천 관리 강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96
2162 환경부 장관, 미래세대와 새활용 제품 만들며 자원순환 가치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89
2161 「중대재해 취약분야 기업 지원대책」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74
2160 겨울철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 관리 실시간으로 철저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93
2159 모든 학생을 위한 마음건강 지원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25
2158 다문화 아동·청소년 맞춤형 지원 강화를 위한 협력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15
2157 산업현장 최일선에서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킨 「2023년 올해의 산업안전감독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0
2156 저탄소 녹색 축산업으로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97
2155 고교 재학 중인 한부모가족 자녀 아동양육비 중단 없이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45
2154 노동약자 보호와 노사법치 확립에 힘쓴 「2023년도 올해의 근로감독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4
2153 건설근로자 권익 보호를 위해 전자카드제 전면 확대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