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준비청년의 일을 통한 자립,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가 함께 합니다.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3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2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12.20.(?자립준비청년 취업지원 협업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취업을 원하는 자립준비청년에게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를 지원하는 데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보호 단계부터 보호종료 후까지 자립준비 시기별 맞춤형 취업 지원을 위해 두 부처가 상시적인 협업체계를 구축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보건복지부는 진로·적성 탐색과 취업지원이 필요한 보호아동 및 자립준비청년을 발굴하여 고용노동부에 연계하고고용노동부 찾아가는 진로교육국민취업지원제도 등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를 통해 참여자들이 원하는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두 부처는 이를 위해 자립지원서비스 취업지원서비스 간 연계 절차를 개선하고 관련 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한편, 자립지원전담기관 등 자립지원 유관기관과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용복지+센터가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매개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자립지원전담기관에서 사례관리를 받고 있는 자립준비청년의 취업 의사가 확인되는 경우, 대상자 동의를 받아 전담기관에서 고용센터로 취업지원 서비스를 직접 의뢰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에서 천안고용복지+센터 서대연 책임상담원은 자립지원전담기관이 발굴한 취업 희망 자립준비청년이 고용복지+센터의 취업지원서비스를 통해 취업에 성공한 협업사례를 발표했다.

  한편 두 부처와 함께 자립준비청년 취업지원 정책 마련에 힘쓰고 있는 전문가들도 협약식 행사에 참석하여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취업지원정책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했다.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립준비청년 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안정적 성장을 돕기 위한 아동보호·자립지원정책과 사회진입을 위한 취업지원정책 간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았다.”라고 말하며, “이번 협약이 통합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소중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이상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아동가족정책연구센터장은 “성인기 안착을 위해 일자리가 필수적이나자립준비청년은 일자리 유지가 더욱 어려운 특성 있다.”라고 말하며“이번 협약을 통해 자립준비청년의 특성과 욕구가 반영된 맞춤형 일자리 지원정책이 마련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유민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년자립지원연구센터장은 “이번 협약은 청년을 중심에 두고 두 부처가 협력한다는 점에서 매우 상징적인 일”이라고 평가하며“그동안 지적되어 온 부처 간 분절 문제를 보완하고자 하는 훌륭한 사례이므로 좋은 성과를 내서 다른 정부 부처로 확대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오현주 한신대학교 교수는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의 협업을 통해 자립준비청년들이 정서, 사회,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진정한 자립을 이뤄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서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보건복지부와의 업무협약이 자립준비청년의 전 생애에 걸친 자립지원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하며, “관계부처가 함께하는 자립준비청년 취업지원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자립준비청년이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설계하고 나아갈 수 있도록 정부가 청년들과 함께 하겠다.”라고 밝혔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자립준비청년이 사회에 나와 자립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일자리가 필수적일 것”이라고 말하며“정부는 두 부처간 협력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취업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이행하는 한편, 자립수당, 자립지원전담기관 사례관리 등 이들에 대한 소득·심리정서 지원도 더욱 세심하게 살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23.12.20.)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6625&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15&endDate=2023-12-2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275 민관협력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으로 나아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27
2274 건설근로자공제회, 「통합시스템 구축 용역」 본격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06
2273 ‘일하다 아프면 맘 편히 몸 편히’ 상병수당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1
2272 올해 친환경선박 전환에 2,422억 원 투입, 온실가스 배출 규제 적극 대응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9
2271 사회약자 보호, 경제활력 제고 위해 노인일자리 등 신속집행 당부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1
2270 생분해성수지 생산 기업을 위한 국가표준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87
2269 우리땅 우리생물의 공식기록, 국가생물종목록 6만여 종 달성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24
2268 미래자동차 전환기업 애로해소에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10
2267 외래생물 관리 강화를 위한 생물다양성법 하위법령 개정·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87
2266 미인증 배출가스저감장치 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6
2265 장애인 요금감면, 온라인으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3
2264 동절기 광산안전 특별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85
2263 산업단지 디지털화, 저탄소화를 위해 향후 4년간 총 2,010억원 국비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66
2262 인구 세계 1위국 인도와 공급망 협력 강화를 위한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협상 열려 [출처] …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56
2261 중소·영세기업의 ‘손에 잡히는’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위해 안전보건교육기관이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66
2260 중대재해처벌법 전면 시행, 사상 최초의 산업안전 대진단으로 총력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2
2259 남녀고용평등에 앞장선 유공자 및 우수기업을 발굴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65
2258 탄소중립 위해 모든 무탄소에너지 최대한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62
2257 페트병 재생원료 품질, 국가표준(KS) 시험방법으로 확인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0
2256 자연환경보전·복원, 효율성과 전문성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