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로 업무 능률 향상 및 우수한 직원의 장기근속 기대”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3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03

 “결혼과 육아로 인해 퇴사하는 직원들을 보면서 유연근무 도입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젊은 직원들이 많아 유연근무가 도입되면 업무 능률이 오르고 우수한 근로자의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케이피티 이재욱 대표이사는 유연근무에 대한 기대감을 이렇게 밝혔다.

  5.31.(고용노동부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유연근무 종합컨설팅에 참여하고 있는 ㈜케이피티를 찾아 대표이사근로자컨설턴트와 간담회를 갖고 컨설팅 진행 상황 점검 및 애로사항?건의사항 등을 청취했다.

  ㈜케이피티는 화장품 캡슐 소재를 만드는 중소 제조업체확장성이 뛰어난 캡슐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선두기업으로 평가된다직원의 평균 연령이 35로 젊은 기업이며근로자 93명은 사무직(49)과 생산직(44)으로 구성되어 있고이중 직장맘 ㄱ씨를 포함한 2명이 시범적으로 시차출퇴근을 적용받고 있으며앞으로 고용노동부 컨설팅을 거쳐 생산직 외 전 직원(49명)에게 시차?선택근무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ㄱ씨는 “3살 아이가 있는데어린이집에서 우리 아이가 제일 먼저 등원하고, 가장 늦게 하원한다고 하더라어린아이들은 자주 아프기도 하는데이런 일이 반복되면 퇴사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라며“현재는 유연근무 시범 적용으로 큰 도움을 받고 있고그래서 더 열심히 일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말했다.

  유연근무 종합컨설팅은 해당 기업의 업종?직무 특성 등을 분석하여 최적의 유연근무 도입 및 활용 방법을 제시해주는 사업이다기업별로 약 12주 동안전문 컨설턴트가 기업 진단?분석인사노무제도 및 정보기술(IT) 기반 설계정부의 재정지원 안내?신청규정 마련 및 시범운영을 한 후 사후관리까지 지원한다원하는 기업에는 유연근무 인프라 구축비 및 장려금도 패키지로 지원한다.

 

  이 회사 인사담당 ㄴ씨는 “과거 유연근무는 대기업과 공기업에서 주로 시행되는 것이라는 인식과 함께 제조업 특성으로 쉽사리 도입하기 어려웠으나최근 기업들의 관심 증가젊은 세대의 인식변화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으로 인해 컨설팅을 신청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이정한 실장은 “최근 ㈜케이피티처럼 유연근무에 관심 갖는 기업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오늘은 제조업도 체계적인 컨설팅을 통해 충분히 유연근무를 도입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앞으로 컨설팅인프라 구축비 지원 및 장려금 지원 등을 더욱 내실있게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고용노동부는 기존의 재택근무 ‘컨설팅’ 및 ‘인프라 지원’을 올해부터 유연근무 전체로 확대했다특히 육아기 자녀를 둔 근로자의 유연근무에 대해서는 재택?원격?선택근무 장려금을 월 최대 30만원에서 40만원으로 상향하고 시차출퇴근도 월 최대 20만원의 장려금을 신설?지하고 있다.



(2024.05.31 고용노동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3611&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4,A00007,A00002,A00033,A00031,A00037,A00009,A00008,A00015,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03&endDate=2024-06-03&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555 친환경 경영 우수사례 확산으로 우리 기업 수출경쟁력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33
2554 EU 수출 중소기업 맞춤형으로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52
2553 “일하기 좋은 회사, 함께 만들어 갑니다.” 노사발전재단, 업종별 일터혁신 네트워크로 혁신일터 조성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47
2552 한국산업인력공단, ‘부패 관행 근절’ 반부패·청렴 정책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46
2551 탄소국경조정제도 관련 우리 측 의견, 유럽연합·영국에 적극 전달하기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29
2550 “생물다양성을 위한 노력, 모두가 함께해요” 2024년 생물다양성의 날 기념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26
2549 환경산업 이끄는 우수기업을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29
2548 한림항 해양쓰레기 수거 현장 등 제주지역 해양수산 정책 추진 상황 꼼꼼히 살펴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16
2547 부모와 기업이 함께 쓰는“육아일기” 공유해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13
2546 미조직근로자 권익보호, 상담·지원을 위한 「근로자이음센터」가 함께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20
2545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 업종별 안전보건 가이드로 시작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38
2544 조선업의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중소 조선사 간담회, 긴급 교육, 현장점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22
2543 2024년 상반기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24
2542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사업으로 고립가구 위험요인 사전 예방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20
2541 RE100 캠페인 대표와 재생에너지 정책방향 및 협력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25
2540 ‘함께 일하기 좋은 기업’을 위한 기업 인사담당자 대상 조직문화 개선 역량 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19
2539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방안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3 122
2538 시각장애아동 등 초청, ‘별밤음악회’ 개최 비회원 2024-05-20 143
2537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방안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7 147
2536 재생에너지 질서있는 확대, 정부가 이끌고 나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7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