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아카데미 일반과정 시범운영 추진

담당부서 : 기획재정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70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02

기획재정부‘25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아카데미? 교육과정신설하여 국내외 유상 공적개발원조(ODA) 전문인력양성본격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8.29()에는 일반과정시범 운영한다.

 

*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개도국 경제·산업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개도국 정부에 장기·저리로 빌려주는 자금(유상차관)

 

최근 대외경제협력기금(수탁기관:한국수출입은행) 규모가 확대되고 EDCF 사업체계가 고도화되면서, 사업 전단계에 걸쳐 ODA 전문인력의 필요성강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EDCF 아카데미?를 통해 사업 참여(희망)및 수원국 관계기관 등 대상으로 EDCF에 대한 이해 및 실무능력 배양을 위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교육과정의 실무 운영은 한국수출입은행 내 전담팀위탁하여 수행할 예정이다.

 

* EDCF 아카데미?는 일반/심화/특수과정 등으로 구성

 

(일반) ODA 전공자,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SP) 컨설턴트, 사업타당성조사 참여(희망)자,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EDCF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기본과정

(심화) 일반과정 수료자, 엔지니어링·건설사를 대상으로 실무능력을 배양하는 고급과정

(특수) 개도국 공무원, EDCF 사무소 현지직원 등을 대상으로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 연수과정

이번 일반과정은 EDCF 주요 협력 기관 책임자 20여명*을 대상으로 참여형 강의(입찰제안서 작성·사례논의, 개선점 토의 등)를 진행할 계획이다. 올해 시범운영 강사진 국무조정실 한국수출입은행 내 경제협력 전문가로 구성될 예정이며, ’25년 이후에는 컨설팅사, 학계 등 외부 강사 초빙할 계획이다.

 

* EDCF 사업 참여 엔지니어링사, 국토연구원·한국도로공사·한국수자원공사·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공공기관, 연세대학교 의료원, 한국기술사회 등 책임자로 구성

 

< 일반과정 시범운영 강의개요 >

 

 

 

일시/장소 : ‘24.8.29() 14:00~18:00, 한국수출입은행 본점

 

프로그램

(1교시) ODA와 유상원조, EDCF 소개(제도·현황·절차)

*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본부 서기관, 한국수출입은행 경협제도팀장

 

(2교시) 방글라데시 EDCF 사업 특징, 사례분석 및 상황별 대응방안, 사업심사 주안점

* 한국수출입은행 아시아5(방글라데시 담당) 부부장

 

(3교시) 보건사업 장애요인 사례분석 및 대응방안(단계별 외부전문가 주업무의 이해)

* 한국 수출입은행 사업협력부(F/S 및 구매담당) 팀장

(4교시) EDCF 평가개요, 완공보고서 작성방법 등

* 한국수출입은행 경협평가부 박사

   

정부는 ‘25년 신설되는 「EDCF 아카데미를 초석으로, 우리 기업·기관 수주 연계성높은 유상 ODA 사업의 질적 제고와 함께 지속가능한 개발협력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다.



(2024.08.28 기획재정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7595&pageIndex=1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9-02&endDate=2024-09-02&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869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의 국제 평화·안보 증진 기여 방안 등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7
2868 폐업 소상공인의 재창업성공을 위한 현장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8
2867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을 위해 3천 7백억 원 규모 특례 대출과 보증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1
2866 관계부처, 티메프 여행상품 소비자 피해 최소화 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8
2865 국민연금, 미래세대의 목소리를 듣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4
2864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민·관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8
2863 유출지하수, 다용도로 활용한다… 수자원 대체 효과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0
2862 화학물질안전원-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자체 화학사고 대피계획 강화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4
2861 탄소규제 대응을 위한 탄소국경조정제 설명회 및 국제 동향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5
2860 건강영향조사 지역주민에 대한 건강검진 지원사업 확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78
2859 호남지역 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해 지자체와 전력망 적기건설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524
2858 한미 연구기관, 야생동물 질병 관리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79
2857 KB부동산과의 협업을 통한 국유재산 정보의 국민 이용 활성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83
2856 성별영향평가로 바꾸어 나가는 우리의 일상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1
2855 지역중소기업 혁신성장의 마중물 「지혁신선도기업육성(R&D)」 예비타탕성조사 면제 확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87
2854 중기부, 지자체와 손잡고 규제자유특구 지역의 혁신클러스터로 키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7
2853 국내기업, 중동에 이어 호주에서 그린수소 사업 본격 진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42
2852 노사발전재단, 라오스·동티모르·케냐·요르단·도미니카 공화국 공무원 대상 글로벌 연수 성료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87
2851 ‘안전배달’ 위해 찾아가는 교육 시동 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67
2850 국립공원공단, 몽골 자매공원 10주년 맞아 보호지역 관리 협력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