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재난 및 안전관리 분야 우수 연구개발 성과 선정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5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02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재난·안전관리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연구개발 7건을 ‘2024년 대한민국 재난안전 연구개발 대상’으로 선정했다.

 

‘대한민국 재난안전 연구개발 대상’은 재난안전 분야 연구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재난안전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2019년부터 수여하고 있다.

 

수상 대상은 두 차례 심사*를 거쳐 선정되었으며, 시상식은 오는 9월 10일(화)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2024년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 개막식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 (1) 성과의 기술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6개 위원회에서 2차 심사 대상 선정
(2) 1차 심사 위원회의 위원장들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수상 대상 선정

 

국무총리상(최우수 1점, 상금 200만 원)으로 ‘에너지 관련 시설물 사고 예방을 위한 철강 소재 국산화 및 신소재 개발’(장재훈, 한국재료연구원)이 선정됐다.

 

중성자 흡수능이 높고 내구성이 높은 철강 소재를 생산하는 기술로, 원자력 발전에서 사용후핵연료 보관에 활용이 가능하고,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강 부품의 내구성 향상을 통해 관련 구조물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함으로써 구조물 붕괴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장관상(6점, 상금 100만 원)으로 선정된 연구개발 성과는 다음과 같다.

 

‘생활안전사고 예방 실감 시뮬레이터 기술 구현’(권승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낙상·화재·승강기 사고 등 생활 속 안전사고에 대해 사용자 맞춤형,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기반 교육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고 유형별로 새로운 시설·장비를 설치할 필요 없이 교육 가능하다.

‘TV 유휴대역 릴레이 기지국 실증 및 사업화’(유호상, ㈜이노넷)는 예기치 못한 재난으로 지하공간의 통신망이 마비된 경우, TV 주파수 유휴대역*활용해 통신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를 활용해 지하공간에서 소방대원의 신속한 구조·구급이 기대된다.

 

* 텔레비전 방송용으로 분배된 주파수 대역 중 사용되지 않고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

 

‘재난안전사고 대응 방폭·내화·내진 유리커튼월’(진문호, 에이모스주식회사)은 고성능 폭약(TNT 150㎏) 폭발(거리 21m) 시 파손이 없고, 화재 시 2시간 이상 화염 차단 및 열 전달 최소화(50℃ 내외), 규모 6.5 지진 시 파손이 없는 유리 제품이다. 테러 및 폭발 위험이 있는 시설(정부기관, 군사시설, 화학공장, 정유소, 충전소 등)에 활용 가능하다.

 

사전 예방 및 조기 대응이 가능한 국가기반 지하시설물 재난안전관리 기술’(정우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지하공동구 화재·재난을 예측해 사전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실증했다.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으로 지하공동구에 설치된 전기·통신·상수도 등의 기능 유지가 가능하다.

 

‘고성능 컴퓨팅(HPC) 활용 고정밀 침수모델 개발 및 도심재난 예측기반 의사결정지원 솔루션 현장적용’(최기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지진, 침수, 미세먼지 피해를 예측함으로써 해당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농작업시 발생하는 농기계사고, 온열질환 사고를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실시간 사고감지’(최종진, (주)엔틱스)는 농기계 전복·충돌, 온열질환 등 위험을 실시간 감지해 가족·지인 등에게 사고 상황을 알림으로써 1인 고령 농업인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데 활용 가능하다.

 

수상 대상 연구개발 성과들이 향후 상용화되면 각 분야 재난·사고로부터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정부는 국민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재난·안전관리 분야에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우수한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2024.09.02 행정안전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8496&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9-02&endDate=2024-09-02&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43 노조법 2·3조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이후 고용노동부 후속 계획 관리자 2025-08-25 623
3342 산업안전 관련 공공기관 긴급 간담회 개최 관리자 2025-08-25 106
3341 국민연금, 중대재해 관련 수탁자책임활동 개선 논의 관리자 2025-08-25 94
3340 고용노동부 장관, 전주 소재 산재사고 다발 사업장 불시점검 관리자 2025-08-25 59
3339 노조법 2·3조 개정안 관련 주요 3개 업종, 6개 대기업 CEO와 간담회 관리자 2025-08-25 55
3338 2025년 2분기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관리자 2025-08-25 54
3337 탄소감축 투자 기업에 1,000억 원 추가 융자 지원 관리자 2025-08-25 58
3336 소셜캠퍼스 온 경기남부 멤버십 회원 기업 대상 사회적기업 인증·사회적가치지표(SVI) 상담회 개최 관리자 2025-08-25 54
3335 해수부·농식품부·협력재단, ‘2025년 농어촌 환경·사회·거버넌스(ESG) 실천인정제’ 시행 관리자 2025-08-20 91
3334 지역 고용상황 악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고용정책심의회 개최 관리자 2025-08-20 177
3333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 우려 관련, 8월 정기모니터링 결과 ‘이상 없음’ 확인 관리자 2025-08-20 81
3332 미인증 자동차 배출가스저감장치 대량으로 불법 유통한 업체 적발 Hot 관리자 2025-08-20 80
3331 자동차 업계, 대·중소 상생 협력으로 미 관세 파고 넘는다 관리자 2025-08-20 79
3330 유엔 플라스틱오염 국제협약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 추가협상회의(INC-5.2) 결렬 Hot 총괄관리자 2025-08-18 81
3329 고용노동부, 건설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20대 건설사 CEO 간담회 개최 총괄관리자 2025-08-18 40
3328 일반수소발전 경쟁입찰 결과, 발전단가 인하, 분산전원 유도효과 지속 총괄관리자 2025-08-18 75
3327 "EU 공급망 실사지침 변곡점, 민관 원팀으로 우리 업계 부담 완화에 총력" 총괄관리자 2025-08-14 469
3326 최근 노동현안 관련 의견 수렴 및 산재 예방을 위한 중소기업 간담회 개최 총괄관리자 2025-08-14 107
3325 안전보건공단-한국철도공사 안전한 일터 만들기 시동 총괄관리자 2025-08-14 52
3324 저탄소 가축분뇨처리, 현장에서 답을 찾다! 총괄관리자 2025-08-14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