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고도화 추진

담당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기후·환경분야 연구개발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및 국제 협력 대표 사업(글로벌 협력 래그십 프로젝트)을 추진하기 위해 ‘25년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기후·환경 연구개발 분야에 862억 원을 투자하 2025년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을 발표하였고, 그 중 올해 신규로 추진되는 6개 사업 27개 신규과제(25233.7억 원) 선정결과를 발표하였다.

 

수소, 탄소 포집활용(CCU) 탄소중립 국제공동연구 추진

 

먼저,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술 확보를 위해 1차 국제 연구개발 대표 사업(글로벌 R&D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선정(’24.5.30., 2회 국제 연구개발<글로벌 R&D> 특별위원회) 수소, 탄소 포집활용(CCU*) 분야 국제공동 연구개발 사업을 착수한다.

 

* Carbon Capture & Utilization :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친환경 연료, 화학물질, 건설소재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

 

수소분야는 미국·독일 등 해외 선도 연구그룹과 협력하여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수전해(AEM SOEC) 혁신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 국립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 태평양 북서부 국립연구소(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12개 기관 협력하여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의 내구성 향상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탄소 포집활용 분야는 미국·영국 등과 탄소 포집 기술의 상용성·비용 저감 등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특히, 한양대학교는 미국 에너지부 산하 브룩이븐 국립연구소(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협력하여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하여 지속가능항공유(e-SAF)를 생산하는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탄소 포집활용(CCU) 소 감축 평가·인증체계 구축과제는 국내 최초로 탄소 포집활용 기술에 대한 탄소감축 평가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한다. 탄소 포집활용(CCU) 탄소감축 평가 온라인 체제 기반이 구축되면, 탄소 포집활용(CCU)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통합법에 따른 탄소 포집활용 기술제품 증 제도운영 등에 있어 정량적인 탄소 감축 수치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기술 개발에 인공지능 활용 강화

 

세 번째로 인공지능 기반 미래기후기술개발 원천연구사업은 인공지능 시대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반도 미래기후 예측·대응 원천 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의 기후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미래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한다.

 

기존 물리법칙 등 역학 기반 기후예측 모델의 정확도와 순수 인공지능 기후 예측 모형의 빠른 처리속도를 결합한 인공지능-역학 전지구 기후모형 개발,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반도 복합기후재해 예측 등을 통해 급변하는 한반도 기후의 중장기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탄소에너지 기술개발

 

네 번째로 무탄소에너지 기술개발사업은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 무탄소 연료활용·초고성능 수소연료전지 기술개발을 통해 무탄소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원천기술 및 국내외 현장 적용을 위한 기반기술(내구성, 안정성 등) 확보를 추진한다.

 

차세대 초격차 태양전지는 기존 단일접합(페로브/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의 한계극복다중접합 태양전지 개발 등으로 효율성제고(기존 27% 35% 이상)하고, 건물·차량 등 적용공간의 한계 극복하기 위한 원천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의 경우 고온(700이상)에서 운용되는 만큼 내구 부족 쟁점을 극복하고, 효율성을 제고(기존 63% 68% )하는 등,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확보하기 위한 연료전지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섯 번째로 차세대 탄소 포집활용(CCU) 기술고도화 사업은 무탄소에너지와 연계하여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전주기 기술 실증을 통해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제철 공정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액상연료(메탄올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발전소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제공받고, 수전해 수소를 활용하여 고상원료(합성원유 등)를 생산하는 촉매, 공정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청정수소기술자립사업(그린수소기술자립프로젝트사업)24년 수소기술 자립화를 위한 수전해 기술개발을 위해 신규로 추진된 사업으로, 올해 선정된 연구과제는 ‘24년에 선정된 알칼라인 수전해, 양성자교환막(PEM) 수전해 국가수소중점연구실과 연계하여 청정수소(그린수소) 기술의 자립화를 위한 동반상승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

 

이번에 선정되는 과제는 최대 6년간 지원예정이며, 개별 주관연구기관에 선정결과 통보 후 이의신청기간을 거쳐 협약될 예정이다.


(2025. 04.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102 향후 10년간 배출권거래제 청사진 확정, 온실가스 감축으로 기업 탄소경쟁력 견인 총괄관리자 2025-01-02 126
3101 현장 및 기술 여건을 반영한 자원순환분야 규제 개선 총괄관리자 2025-01-02 287
3100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녹색투자규모 확대 총괄관리자 2024-12-26 197
3099 「녹색여신 관리지침」 제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228
3098 경기권 반도체 사업장, 물 재이용 사업 본격 추진… 하루 12만 톤 규모 공급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94
3097 생활화학제품 원료 안전성 정보, 나뭇잎 개수로 알기 쉽도록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59
3096 국립과천과학관 ‘RE100’ 선언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62
3095 환경교육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준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135
3094 “기업 건강이 곧 근로자 건강” 2024년 26개 건강친화기업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826
3093 ’24년 지속가능경영 유공 21개 기업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4-12-12 571
3092 어업인 살리고, 수산물 공급 안정화... 기후변화 대응 종합 계획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9 532
3091 생활화학제품 안전사회 실현을 위한 민관 이행협의체 새롭게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46
3090 한국-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과 글로벌 자발적 탄소 메커니즘 공동개발 합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354
3089 외교부, 해외발 공급망 위기에 대비한 관계부처 합동 대응훈련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24
3088 전력구매계약(PPA), 망이용료 지원 및 펀드 투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94
3087 우리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해외진출 활성화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78
3086 농식품부, 농장동물의 복지 인식 개선을 위한 보편적 가이드라인 검토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39
3085 다부처 기후적응 전문가 모여 적응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협력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90
3084 한국-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주최 기후변화 대응 투자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45
3083 기후변화 대응 방안 논의를 통해 연내 원예농산물 수급 안정 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2-04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