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437MW 접속지연 해소 추진,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로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829()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2025년 제 2전력계통혁신포럼을 개최하였다. 이번 포럼에는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 전력거래소(이하 거래소), 전기안전공사(이하 전안공) 등 관계기관과 민간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여 접속지연 지역 애로해소,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 지역 단위 계통 운영역량 강화, 전력 설비 전자파 정보공개 확대 방안 등 재생에너지 수용력 확대를 위한 현장 중심 실행 과제를 중점 논의하였다.

 

접속지연 지역 애로해소 애로지역 437MW 연내접속 목표

 

전력당국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하여 사업자들의 접속 대기 현안 해소에 역점을 기울일 예정이다. 태양광 등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신청하였으나 전력망 부족으로 인해 접속 대기 중인 사업자의 현황을 지역별·시기별로 분석하고 접속지연 맞춤 해소 대책을 입체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다.

·허가 지연 요소에 대해서는 개별 현안들에 대해 정부한전 등이 공동으로 인허가 기관들과 소통하고, 설비증설을 위한 자재 조기 확보, 변전소 입지 조기 확정 등을 통해 공사에 차질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전북,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지역 약 437MW시급한 접속 대기 물량이 올해 안으로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며, 잔여 접속 대기 물량 역시 단계적으로 해소하는 데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인버터 성능기준 강화 전력계통의 재생에너지 수용성 제고

 

재생에너지 기반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인버터의 지속운전성능* 강화가 필수적이다. 전력당국은 국표원, 한전, 거래소와 함께 연내 성능 규정을 개정하고, 신규 설비 및 기설 설비의 성능구비를 위해 제도적, 재정적 지원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 전력계통 고장으로 인한 전압, 주파수 변화에도 재생에너지가 정지 또는 전력망에서 탈락하지 않고 계속 운전 가능한 기능으로 저()전압/()주파수 지속운전기능이 대표적

 

이번 개정 추진은 지금까지 개별 설비보호 관점에서 마련된 성능 규정 체계에서 과감히 탈피, 전력망 안정성 유지 차원으로 성능 규정 패러다임을 전면 전환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와 같은 인버터 기반 설비의 수용성을 대폭 확대시키는 동시에 전력망의 안정적 운영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관간 계통정보 연계 지속확대 지역 단위 계통운영 역량 고도화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계통 운영의 정확도 향상도 중요하다. 전력 당국은 송·배전망의 정밀한 관제운영과 신속한 출력제어 대응을 위하여 ’24년부터 거래소, 한전, 전안공의 전력정보 연계를 추진 중이며, 지난 6 1 정보연계를 완료한 바 있다. 금년 내 배전망 제어 정보의 연계를 더욱 고도하는 2차 연계를 시행함으로써, 발전량 실측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전량 추정 정보의 정확도 역시 개선할 예정이다. 또한, 전안공이 보유한 자가용 태양광 설비정보 등 그간 전력망 운영시스템에서 실측 계량이 부족했던 발전설비에 대해서도 정보관리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전력설비 전자파 정보공개 확대 투명성에 기반한 수용성 개선

 

재생에너지 확대와 더불어 전력 설비에 대한 지역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함께 논의되었다. 한전은 전력 설비 전자파 발생 측정량과 발생 영향 등 상세 정보를 금년 내로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하여 전자파에 대한 우려를 완화해 나갈 계획이다.

 

 

포럼에 참석한 최연우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전력망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계통 운영 및 관리자들의 통합 대응력 강화와 사업자들의 책임성 확대를 합리적으로 병행하겠다.”라고 밝혔다.



(2025.08.29 산업통상자원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355 사회적기업의 지속 가능한 미래, 함께 그리다 관리자 2025-09-01 9
3354 한국-아랍에미리트 제8차 수자원 협력 공동위원회 개최 관리자 2025-09-01 12
3353 남녀 모두가 성평등을 체감하는 정책 개선 관리자 2025-09-01 9
3352 「제3차 한-말레이시아 기후변화대화」 개최 관리자 2025-09-01 11
3351 사회적경제기업과 함께하는 사회적가치, 2025 컬렉티브 임팩트 창출 포럼 개최 관리자 2025-09-01 10
3350 영양군이 키운 화끈한 맛으로, 지역을 키워갈 맛있는 동행 관리자 2025-09-01 6
3349 체육계 중대한 인권침해 무관용·일벌백계 원칙 대응 강조 관리자 2025-09-01 7
3348 한중일 정책 담당자,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제주에 모인다 관리자 2025-09-01 7
3347 항만에 국산 무탄소 하역장비 보급한다 관리자 2025-09-01 7
3346 농업농촌, 기후대응 - 탄소중립 어떻게 하나요? 관리자 2025-09-01 10
3345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대상으로 기후적응 역량강화 교육 실시 관리자 2025-08-25 101
3344 추석 대비 선원 임금체불 예방 및 밀린 임금 지급을 위한 특별근로감독 실시 관리자 2025-08-25 64
3343 노조법 2·3조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이후 고용노동부 후속 계획 관리자 2025-08-25 582
3342 산업안전 관련 공공기관 긴급 간담회 개최 관리자 2025-08-25 96
3341 국민연금, 중대재해 관련 수탁자책임활동 개선 논의 관리자 2025-08-25 86
3340 고용노동부 장관, 전주 소재 산재사고 다발 사업장 불시점검 관리자 2025-08-25 53
3339 노조법 2·3조 개정안 관련 주요 3개 업종, 6개 대기업 CEO와 간담회 관리자 2025-08-25 46
3338 2025년 2분기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관리자 2025-08-25 46
3337 탄소감축 투자 기업에 1,000억 원 추가 융자 지원 관리자 2025-08-25 45
3336 소셜캠퍼스 온 경기남부 멤버십 회원 기업 대상 사회적기업 인증·사회적가치지표(SVI) 상담회 개최 관리자 2025-08-25 44